•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티 노블(Mattie W. Noble)의 일지 : 한 부인 선교사의 삶과 ‘여성의 영역(Women's Sphere)’ (The Journals of Mattie W. Noble: Life as a Missionary Wife in Korea, and the "Women's Spher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2.12
43P 미리보기
매티 노블(Mattie W. Noble)의 일지 : 한 부인 선교사의 삶과 ‘여성의 영역(Women's Sphere)’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0호 / 211 ~ 253페이지
    · 저자명 : 류대영

    초록

    매티 윌콕스 노블(Mattie Wilcox Noble, 1872∼1956)은 1892년부터 1934년까지 한국에서 선교사로 일했던 초기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다. 그는 윌리엄 아서 노블(William Arthur Noble, 1866∼1945)과 결혼한 직후 한국으로 와서 서울, 평양, 경기도 일대에서 선교활동을 하였다. 매티 노블은 42년에 걸친 선교사 생활을 일지로 기록했다. 사적(私的) 기록인 매티 노블의 일지는 선교본부나 선교부에 보낸 보고서나 편지와 같은 공적인 문서에서 찾기 힘든 대단히 개인적인 감상과 의견을 솔직하게 보여준다. 이 글은 그 일지에 드러난 내용 가운데 특히 남성 선교사와 구별되고 독신 여성 선교사와도 구별되는 부인 선교사의 삶과 생각을 보여주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출산과 자녀양육, 질병과 죽음, 가사, 교제와 손님 치르기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선교사로서의 활동보다는 아내, 어머니, 그리고 가정주부로서 부인 선교사의 삶을 미시적으로 접근했다.
    일지가 보여주는 바에 의하면 매티 노블은 당시 영미권 중산층이 공유했던 빅토리아적 가치관에 따라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였다. 빅토리아적 가치관은 가정과 자녀를 ‘여성의 영역(Women's Sphere)’으로 정하였으며, 여성을 도덕적, 종교적, 자기희생적인 존재로 여겼다. 또한 부인이 인격적으로는 남편과 동등하지만, 그 역할은 남편을 돕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매티 노블은 이와 같은 빅토리아적 가치관에 충실하였다. 그는 아이들을 양육하고, 가정을 꾸미며, 남편을 돕는 일을 최우선적으로 여겼다. 매티 노블의 일지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내용 가운데 하나는 출산, 질병, 교육 등 자녀들에 관한 내용이다. 비위생적이고 낯선 환경에서 많은 선교사의 어린 자녀들이 사망했기 때문에 부인 선교사의 일차적 관심은 자녀들을 잘 낳고 건강하게 기르는 일이었다. 또한 매티 노블의 일지는 선교사의 가정이 선교사 및 서구인 공동체의 교제 중심지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가능하면 미국식으로 꾸민 선교사 가정은 한국에서 미국식 음식, 미국식 집안, 미국의 주부와 아이들을 보여주는 거의 유일한 공간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미국식 가정은 한국인들에게 ‘기독교 가정(Christian home),’ ‘기독교 부인,’ ‘기독교 어머니’의 본보기를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교육기관으로 인식되었다.

    영어초록

    Mattie Wilcox Noble (1872∼1956) was a pioneer missionary from America's Methodist Episcopal Church who had worked in Korea from 1892 to 1934. She came to Korea immediately after marrying William Arthur Noble (1866∼1945), and was engaged in missionary activities in Seoul, Pyungyang, and Gyeonggido. Mattie Noble left journals covering forty-two years of her missionary life. Being a private record, her journals reveal very personal feelings and opinions that are hard to find in missionaries' official reports and letters to the mission board or the Korea mission.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life and thought of missionary wives that is distinct from male missionaries and single women missionaries. Therefore, it tries to reveal the life of missionary wives primarily as wives and mothers rather than missionaries, by dealing, from a micro-historic point of view, with such topics as childbirth and child-rearing, diseases and deaths, homekeeping, socializing, and entertaining visitors.
    The Journals show that Mattie Noble understood her role in accordance with the Victorian values shared by the middle-class people of the Anglo-American world at that time. The Victorian values defined that only home and children are the "Women's Sphere," and considered women ethical, religious, and self-sacrificial beings. Although the wife was equal to the husband in personal qualities, her role was understood to be his help-mate. Mattie Noble was faithful to these Victorian values. She thought that child-rearing, homekeeping, and helping her husband were the things of the top priority. Some of the most frequent entries of her journals were the stories about her children including their births, illnesses, deaths, and education. She had witnessed many deaths of missionaries and missionary children in the unsanitary, and alien Korean environment. So one of her utmost concerns was to raise the children safely. Mattie Noble's journals also show that the missionary homes were at the center of the missionary and western community. They were made as similar as to the homes in America, and were practically the only places in Korea where people could experience American houses, foods, wives, and children. Besides, the missionary homes were regarded as an important tool of practical education that could demonstrate the "Christian home," the "Christian wife," and the "Christian mother" to the Korean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