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가전통(儒家傳統)과 노장전통(老莊傳統)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 (The topic of life and death in the Confucian tradition and the taoist tradi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1.03
24P 미리보기
유가전통(儒家傳統)과 노장전통(老莊傳統)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83호 / 131 ~ 154페이지
    · 저자명 : 전호근

    초록

    이 글은 유가전통과 노장전통에 나타난 삶과 죽음에 대한 각기 다른 관점과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죽음에 대한 동아시아 사회의 공통된 문법을 발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자의 경우는 죽음을 애도하는 데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사랑하는 제자의 죽음 앞에서 삶에 대한 자신의 근본 원칙마저 유보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공자는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는 배불리 먹지 않았고 곡한 날에는 노래 부르지 않았으며 상복을 입은 사람을 보면 상대가 비록 나이어린 사람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자리에서 일어나 예를 갖추었다. 슬픔에 빠진 사람을 지극하게 배려한 것이다.
    노자의 경우는 죽은 자에 대한 기억을 중시한다. 노자는 불사(不死)를 강조했지만 그가 말하는 장수는 육체적으로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죽어도 죽지 않는 것이다. 죽어도 죽지 않는다는 말은 죽어서도 잊히지 않는 것을 말한다. 결국 노자는 죽은 이에 대한 살아 있는 자의 기억을 강조함으로써 죽은 사람의 삶이 단절되지 않고 현세에 이어지도록 하는 것을 바람직한 공동체 문화로 이해한 것이다.
    장자의 경우는 죽음을 보다 긍정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살아 있는 자의 슬픔을 치유하려는 지향을 보인다. 장자는 삶이란 죽음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라는 무거운 사실을 지적하고 죽음으로부터 벗어날 길이 없다는 사실을 직시한다. 그럼에도 죽음은 왔던 데로 돌아가는 것과 같아서 슬퍼할 일이 아니며 삶을 사랑하는 만큼 죽음 또한 사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자를 중심으로 형성된 유가 전통에서는 죽은 이를 애도하는 절차를 통해 슬픔 속에서도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인간의 참모습이 드러난다고 생각했고, 노자의 경우 죽은 자에 대한 기억을 통해서 죽음과 삶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공동체를 꿈꾸었으며, 장자는 죽음을 긍정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죽음의 두려움을 넘어 산자의 슬픔을 치유하려는 지향을 보인다. 각기 다른 방식이지만 죽음과 삶을 연결 지음으로써 삶의 지속성을 유지하려 했다는 점에서 이들 사유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common perspective of East Asian society for death by examining different viewpoints and attitudes on life and death in the Confucian tradition and the taoist tradition.
    In the case of Confucius, they could find out his tendency to focus on his mourning death. This is because he shows an attitude that he suspend even his fundamental attitude toward life in front of the death of his beloved disciple. Furthermore, Confucius didn't eat up close to the injured person, did not sing on mourning days. And when he saw the person in mourning, even though he was younger, he would surely get up and be polite. Confucius was extremely considerate of those in grief.
    It is the memory of the dead that is valued to Lao tzu. Lao-tzu emphasized immortality. This does not mean to live long physically, but not to die even if we die. And not to die means not to be forgotten. In the end, Lao-tzu understood it as a desirable community culture to make the life of the dead continue to the present world by emphasizing the memory of the living for the dead.
    Chang tzu tries to heal the sadness of the living by accepting the death more positively. He points out the heavy fact that life is running toward death and looks straight at the fact that there is no way out of death. And he insists that, nevertheless, death is not something to be saddened with because it is like going back to where it came, and as much as you love life, you should love death as well.
    In the Confucian tradition, the process of mourning the dead was thought to reveal the true form of human beings living in a relationship in grief. In addition, Lao tzu dreams of a community in which death and life are naturally connected through memories of the dead, and Chang tzu shows the intention to heal the sadness of the living beyond the fear of death by positively accepting death. Their viewpoints are different, bu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tried to connect death and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