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복한 삶, 위대한 사회: 풍요의 시대에 개혁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Quality of Life and Public Welfare: the American Democratic Party from the Affluent Society to the Great Socie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0.12
27P 미리보기
행복한 삶, 위대한 사회: 풍요의 시대에 개혁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사론 / 147호 / 9 ~ 35페이지
    · 저자명 : 김일년

    초록

    이 글은 1950년대 후반 미국의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가 제시한 “풍요의 사회”에 대한 비판이 1960년대 중반 린든 존슨 대통령이 추진했던 “위대한 사회” 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1952년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은 공화당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에게 패배했고, 이로써 프랭클린 루스벨트부터 20년 간 독점했던 정권을 상실했다. 민주당에게 이 패배는 일종의 성공이 낳은 역설이었다. 루스벨트의 뉴딜과 해리 트루먼의 페어딜로 대표되는 민주당 정부의 복지 및 경제 정책들은 미국을 대공황의 충격으로부터 구출하여 전후 장기호황의 시대로 인도했다. 그러나 이 새로운 풍요의 시대에 빈곤의 극복이라는 미국 개혁진영의 오랜 과제는 설득력과 적실성을 잃어갔다. 일부 민주당 인사들은 새 시대에 맞는 새로운 개혁과제로 경제성장과 이를 통한 국민 생활수준의 증진을 제안했다. 갤브레이스를 비롯한 몇몇 인사들은 미국의 당면과제는 경제성장이 아니라 시민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 과업은 오직 건강, 문화, 주거, 교통, 교육, 환경 등 모든 공공복지의 영역을 확충하는 것으로만 실현될 수 있을 것이었다. 이러한 갤브레이스의 주장은 린든 존슨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그가 후일 위대한 사회라는 이름으로 추진했던 개혁정책들에 반영이 되었다. 갤브레이스의 풍요의 사회에서부터 존슨의 위대한 사회까지 이어진 이 글의 이야기는 개인의 행복한 삶과 사회의 공공복지가 전후 미국 복지국가의 구상과 실천에서 불가분의 관계로 연결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how John Kenneth Galbraith’s critique of “the affluent society” in the 1950s provided President Lyndon B. Johnson with significant intellectual inspiration and ideological justification during the course of his creation of the Great Society programs in the 1960s. Throughout the 1950s, Galbraith and several like-minded liberal intellectuals argued that the Democratic Party should shift its ideological focus from economic growth and focus more on raising the quality of life for every citizen. According to them, a life of better quality required more than merely higher economic living standards; it additionally required a greater number of schools, libraries, hospitals, parks, roads, the right to clean water and air, and the overall creation and maintenance of safe and enjoyable neighborhoods. This political framework relied on the belief that the only way to provide such public services for all Americans was to build a more comprehensive welfare state, and that only with the goal of enhancing public welfare could every individual American’s happiness be guaranteed. As Johnson continued to draw upon the intellectual influence he had during the course of his interactions with Galbraith during the 1950s, he expanded his platform on welfare during his presidency and subsequently created the Great Society programs. As a result, Galbraith’s criticism of ‘the affluent society’, arguably one of the most perceptive analyses of postwar American society and economy, remains memorialized in the basic foundation of Johnson’s Great Society programs, which was arguably the most ambitious attempt to build a welfare state in America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사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