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The Life of a Family in Exile in Seogando Depicted in the Hangul Letters of Geukjae Eo Yun-Jeok(1847~1933)'s Famil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2.12
29P 미리보기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114권 / 221 ~ 249페이지
    · 저자명 : 문희순

    초록

    이 논문은 어윤적(1847~1933)의 후손 가에 소장되어 내려 온 한글편지를 분석하여 일제강점기 망명가족의 삶을 연구한 것이다. 편지가 발⋅수신된 시기는 1912년 ~ 1936년 즈음이다. 편지 건수는 『萬里初程(만니초졍)』 수록 17건, 낱장편지 10여 건이다. 편지는 오빠가 여동생들에게, 여동생들이 오빠에게, 작은아버지가 질녀들에게, 질녀들이 작은아버지에게, 종숙이 종질부에게, 종질부가 종숙에게, 고모가 조카에게, 시누이가 올케에게 보내는 가족 연서이다. 한글편지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서간도 망명 가족의 遊離漂迫하는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둘째, 본국에 남아있는 가족들의 망명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애끓는 가족언어가 표현되어 있다. 셋째, 일제에 의해 국권을 찬탈당한 백성의 탄식이 묻어나 있다. 넷째,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서간도 독립운동사의 일단을 알 수 있는 기록들이 들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일제에 의해 국권이 찬탈된 불안한 시대상황, 그리고 그 시대를 저항하며 삶을 영위해 낸 청원 함종어씨 망명가족의 삶과 가족사가 일부 복원되었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of a family in exile during the Japanese rule by analyzing the Hangul letters housed and handed down by the descendants of Eo Yun-jeok(1847~1933). These Hangul letters were sent and received around 1912년 ~ 1936. They include 17 letters in Mannichogyeong and ten separate letters. They are affectionate family letters sent by elder brothers to their young sisters, by younger sisters to their elder brothers, by uncles to their nieces, by nieces to their uncles, by male cousins of the father to the wives of their second cousins, by the wives of second cousins to their male cousins of the father, by aunts to their nephews, and by sisters of the husband to their sisters-in-law.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angul letter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offer a window to peek into the living aspects of a family in exile in Seogando as they wandered around without homes and occupations; second, they depict how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in Joseon miss the family members in exile in a family language filled with broken hearts; third, they contain the sighs of people whose national sovereignty was usurped by the Japanese Empire; and finally, they include records to show a part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Seogando that is not known well to the academic circles.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the partial restoration of the life and history of the Hamjong Eo family of Cheongwon in exile that lived a life of resistance to the uneasy situation of the times when their national sovereignty was usurped by the Japanese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