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 이황과 우담 정시한의 삶과 학문 − 자경(自警)과 습서(習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fe and the Learning between Toegye Lee Hwang and Woodam Jeong Si-Han - Focused on Self-Inscription and Calligraphi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1.01
36P 미리보기
퇴계 이황과 우담 정시한의 삶과 학문 − 자경(自警)과 습서(習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66호 / 123 ~ 158페이지
    · 저자명 : 리기용

    초록

    이 논문은 퇴계 이황과 우담 정시한의 삶과 학문을 첫째 군자의 상징 중 매(梅)와 죽(竹)의 은유, 둘째 죽음을 앞두고 생을 정리하며 쓴 자명(自銘)과 자경(自警),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간과된 주제인 습서(習書)와 경(敬)의 실천에 초점을 맞추어 퇴계와 우담의 삶과 학문의 단면을 대비시켜 양자의 공통점을 찾아보고자 한 글이다. 그들의 삶과 학문의 성격을 당시의 학자들과 구분시켜 파악하기 위하여 유가와 도가를 상징하는 명교(名敎: 廟堂)와 자연(自然: 山林)이라는 개념을 유학자들의 출처와 대비시켜 그 특징을 정형화시켰다.
    고찰한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퇴계와 우담은 모두 매화[梅]와 대나무[竹]에 대한 깊은 사랑을 매화를 바라보며 시로 노래한 영매(詠梅)와 매화를 곁에 두고 그림으로 옮기는 화매(畵梅)를 통해서 퇴계와 우담의 특징을 설명하였으며, 풍락정에 옮겨 심어 놓은 대나무[移竹]과 그곳에 부임하는 손자에게 그것을 사표 곧 선생죽(先生竹)으로 삼으라는 일화로 양자의 가교로 삼아 대비시켰다.
    둘째, 퇴계와 우담은 모두 삶의 마지막을 스스로 정리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죽음을 준비하며 자명(自銘)과 자경(自警)을 썼다. 여기에는 자신의 부족한 자질, 허약하고 젊은 시절의 병치레, 정치적인 회의와 뒤늦게 학문에 전념하며 도를 즐기며 살다[樂道] 한평생을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마감하는 삶이 요약되었고, 소박한 장례를 치르라는 유언을 통해 은일의 삶 속에 자연스런 죽음을 준비하는 모습이 공통적으로 담겨 있었다.
    셋째, 작은 일상의 습서 공부에서도 학문 전체에 일관된 경(敬) 공부가 실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명도에서 주자를 통해 퇴계에게 전해지는 서자명(書字銘)을 통하여 글씨의 점과 획을 익히는 순간순간 경 공부를 잃지 말라는 습서의 정신이 계승되고 있었다. 퇴계는 습서라는 시를 통해 그 정신을 제자에게 전했으며, 이것은 시간을 뛰어넘어 우담의 습서하는 삶과 학문의 일부로 계승되고 있었다.
    이 고찰을 통하여 17세기 퇴계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우담 정시한이 퇴계의 삶과 학문을 본받는 학퇴계(學退溪)의 구체적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것은 산림자연을 지향하는 삶의 자세와 정⋅주(程朱)로부터 퇴계를 거쳐 우담으로 계승되는 경(敬) 공부의 정신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find similarity between Woodam(愚潭) Jeong Si-Han(丁時翰) and Toegye(退溪) Lee Hwang(李滉) by comparing their respective academic works, focusing on the following: first, metaphor on plum and bamboo, the symbols of sage(君子), and second, Self-Inscription(自銘) and Self- Alert(自警) that reflects life before death, and generally neglected topic, calligraphing and mindfulness. To understand their life and characteristics of studies, this paper categorizes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by contrasting the concept of Mingjiao(名敎, Miaotang廟堂) and Ziran(自然, Shanlin山林) – symbolizing Confucianism and Taoism – with respect to the origins of Confucianists.
    This paper finds the following. First, both Toegye and Woodam show strong love toward plum and bamboo. The characteristics of Toegye and Woodam can be explained with Yongmei(詠梅), poetry about plum, Huamei(畵梅), paintings of plum, and story about replanting bamboo in Fengleting(豊樂亭) and making it Xianshengzhu(先生竹) for grandchildren. Through this comparison, it can be shown that both scholars symbolically show their aim toward natural life of Shanlin using the nobility of plum – blooming after long winter but not selling its fragrance (梅不賣香), and virtues of bamboo – constancy, integrity, emptiness and uprightness, representing loyalty and integrity of scholar.
    Secondly, Toegye and Woodam wrote Self-Inscription and Self-Alert to prepare for their natural death by reflecting their life. The essays show their lack of talent, weak and frail youth, political skepticism, devotion to academia late life, joy of living in Tao(樂道), and their will to have humble funeral, preparing for natural death.
    Thirdly, it is verified that study of mindfulness through calligraphing has been practiced in everyday life as well as the study of structure and content of Confucianism. Woodam inherits the life of calligraphy as part of study that originated from Chengmingdao(程明道), Zhuzi(朱子), passed down to Toegye as Shuziming(書字銘) – the writing implying the spirit of calligraphy not to forget study of mindfulness even when learning the art of wri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life and study of Toegye and Woodam, living in obscurity without going into government, pursuing Shanlin, not Mingjiao show the view of Seonbi(士) toward origins. Also, it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Confucianist view of life and death by studying Self-Inscription and Self-Alert, accepting and preparing natural and humble death. Lastly, the records about calligraphy as the process of study, not the result, restores the image of practicing the art of writing, and it verifies the essence and aspect of calligraphy practicing mindfulness, passed down from Chengmingdao and Zhuzi to Toegye and inherited by Woodam.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reate detailed view of Woodam Jeong Si-Han, representative scholar of Toegye school in 17th century. following the life and study of Toegye(學退溪).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