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회하는 공간에서 삶의 공간으로 -박태순의 <낮에 나온 반달>에 나타난 공간 의식- (A Study on the Meanings of Spaces in Park Tae-Sun's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0.08
28P 미리보기
배회하는 공간에서 삶의 공간으로 -박태순의 &lt;낮에 나온 반달&gt;에 나타난 공간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31호 / 381 ~ 408페이지
    · 저자명 : 장현

    초록

    <낮에 나온 반달>의 중심인물인 구자석은 원초적 공간이면서 실용적 공간인 방을 그리워하지만 그곳에 집착하지는 않는다. 환멸에 대한 방어적 공간인 뮤직홀 또한 실존적 공간으로 인식할 뿐 그곳에 머물지 않는다. 그는 역사성이 일그러진 공간에서 현실을 직시하고 성찰한다. 유폐된 공간에 갇혀있지 않고 직접 세계의 중심이 되어 도시 공간을 경험한다. 또한 거리를 행보하고 서민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면서 그것에 의미를 부여한다.
    <낮에 나온 반달>에 나타난 공간의식은 구자석의 공간 경험을 선형적으로 드러낸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원초적 공간, 실존 공간, 지각 공간의 체험이, 소외되고 배제된 서민 공간으로의 관심과 이동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이다. 고립되고 분자화된 주체들은 소통하고 연대할 수 있는 공간을 찾기 마련인데, 구자석에게 있어 ‘외촌동’이라는 난민촌의 발견은 필연적인 귀결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entral character in <Half-moon in Daytime>, Ja-Seok Gu, longs for a basic and practical space of room but does not become deeply attached to that place. He also perceives the Music Hall, which is a defensive space against disillusion, as an existential space but does not remain there.
    Ja-Seok Gu faces the reality and self-reflects in the space with distorted historicity. Namely, he experiences the urban space by directly becoming the center of the world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a closed off and confined space. In addition, he walks around the streets and uses public transportations during which he gives meaning to them.
    The experience in the perceived space leads the characters in the novel by Tae-Sun Park to the field of life where the majority are alienated. They will end up going to a ghetto in Oechon-dong (a remote part of Seoul) after roaming around the city of Seoul. The subject experience in open space rather than thinking and self-reflecting in closed off space signifies a movement towards the space for the weak.
    The space consciousness displayed in <Half-moon in Daytime> has an additional meaning than something that linearly revealed Ja-Seok Gu's spatial experience. It can be said that the space perception of Tae-Soon Park is the result of the reflection of the basic space perception and existential agony, historicity and future-orientation in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