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자철학에서 깨달은 사람과 그 삶의 방식-성인과 현자의 구별을 중심으로- (The Man and the Way of Life Learned from Lao-tzu Philosoph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2.09
38P 미리보기
노자철학에서 깨달은 사람과 그 삶의 방식-성인과 현자의 구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5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이재권

    초록

    노자는 춘추시대의 타락한 현실 인간들을 비판하고, 타 학파에서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도 비판하고, 자신의 새로운 이상적 인간상을 제시했다. 노자철학의 궁극 목표는 도를 깨달아 聖人이 되고, 그가 자신과 세상을 위하여 유의미한 행위(무위)를 하는 것이다. 노자가 제시한 새로운 인간상은 聖人과 賢者(賢人)이다. 현자는 도를 깨달아 인격적으로 훌륭한 인물이다. 성인 역시 도를 깨달아 인격적으로 훌륭한 인물인데, 그는 통치라는 사회적 임무도 수행하는 인물이다. 양자 모두 내면적 인격 완성 측면은 동일한 데, 성인이 수행하는 사회적 역할이 현자보다 더 넓다는 차이가 있다.
    현자는 혼탁한 세상을 정화하여 서서히 맑게 만든다. 기성의 질서에 안주하지 않고, 무기력한 세상에 생기를 불어넣어 새로운 바람을 일으킨다. 현자는 사사로운 마음과 이기심이 없어서 잘남을 감추고 겸손하며, 남들 앞에서 자랑하지 않으므로 오히려 진정한 존경을 받고, 세상 사람들과 함께 잘 어울려 살아간다. 현자는 타인에게 덕을 베풀므로 복이 남아돌고, 존경과 명예가 흘러 넘쳐난다.
    노자는 성인을 갓난아이와 물에 비유한다. 갓난아이는 천진난만하고 순진무구하여 아무런 욕심이 없는 존재다. 갓난아이는 고정관념에 집착하지 않아 매사에 부드럽고 유연하며 담백하다. 또한, 지나친 욕망을 갖지 않으므로 타인들과 갈등 상황을 만들지 않는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해주고 항상 낮은 곳으로 향하며, 자기 정체성을 고집하지 않는다. 성인은 보통사람들의 삶을 지배하는 욕망·의도·감정·편견 등에 집착하지 않는 사람이다.
    성인은 부드러운 리더십을 가진 훌륭한 지도자이다. 그의 행위는 세상의 기준(준칙)이 된다. 그는 백성들과 주도권 다툼을 하지 않고, 그들 위에 군림하지 않으며, 그들의 입장을 존중해주고, 그들보다 낮은 자리에 위치한다. 그는 세상 사람들과 유연하게 소통하므로 다투는 일이 없다. 그는 현실을 개혁해서 좋은 세상을 만들려는 적극적인 인물이다. 성인의 통치 행위는 소극적으로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無爲를 적극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그러면 모든 일이 순리대로 잘 풀려 평화롭고 행복한 세상이 된다.

    영어초록

    Lao-tzu criticized the fallen real human beings in the Spring and Autumn era, criticized the ideal human image presented by other schools, and presented his new ideal human image. The ultimate goal of Lao-tzu's philosophy is to realize the Tao(道) and become a sage and do meaningful deeds for himself and the world. The new human figures proposed by Lao-tzu are the Sages(聖人) and the wise men(賢人). A wise man is a person of great character who realizes the Tao. A Sage is also a good person as he realizes the Tao, but he is also a person who performs the social task of governing people, so the difference is that the social role played by a Sage is wider than that of the wise men.
    Lao-tzu compares the Sage to infants and water. A newborn child is pure and innocent and has no greed. Infants are not obsessed with stereotypes, so they are soft, flexible, and candid in everything. Also, they do not have excessive desires, so they do not create conflicts with others. Water benefits all things, always goes low and does not insist on its own identity. The Sage is a person who does not cling to the desires, intentions, emotions, and prejudices that dominate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The wise man purifies the turbid world and gradually clears it. Instead of being complacent with the established order, it breathes life into the helpless world and creates a new wind. Because a wise man has no personal greed and selfishness, he hides his pride and is humble, and because he does not boast in front of others, he is truly respected and lives well with the people of the world.
    The Sage is a good leader with soft leadership. His actions become the standard principles of the world. He does not fight for initiative with the people, does not rule over them, respects their positions, and places himself lower than them. He communicates flexibly with the people of the world, so there is no quarrel. He is an active person who tries to reform reality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The act of “government” from a sage is not passively doing nothing, but actively doing nothing(無爲). Then everything will go smoothly and the world will be peaceful and happ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