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한글 편지에 나타난 송준길(宋浚吉) 가문 여성의 삶 (Woman's life of Song Junkil family shown in Hangul letters in the 17th~18th centuri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0.06
37P 미리보기
17~18세기 한글 편지에 나타난 송준길(宋浚吉) 가문 여성의 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호 / 67 ~ 103페이지
    · 저자명 : 홍학희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 여성 문화의 지역성(地域性)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된 논문 가운데 하나로, 송준길(宋浚吉, 1606~1672) 집안에 내려오는 한글 편지를 중심으로 은진(恩津) 송씨, 더 나아가 충청 지역 여성의 삶과 문화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편지에 나타난 여성 관련 호칭과 어투를 살펴보면, 송준길 집안에서는 딸들에게도 대부분 한자 이름을 지어주었으며 시집간 딸에게는 ‘-집’이나 ‘-실(室)’을, 며느리에게는 ‘-’ 자를 붙여 대체로 집안의 가계를 잇는 며느리를 딸보다 더 우대하였다. 또 시집 어른이 손아래 며느리나 제수씨에게, 남편이 아내에게 ‘하게체’와 ‘하오체’를 섞어 쓰고, 시숙이 제수씨에게, 남편이 아내에게 주체존대 선어말어미 ‘-시-’ 자를 붙여 존대하였다.
    편지의 내용을 살펴보면 송씨 집안의 며느리들은 대갓집 며느리답게 큰살림을 꾸리면서 접빈객․봉제사의 무거운 소임을 다하고 있다. 그런데 송요화의 처 안동 김씨를 제외하고는 모두 생산과 수입 같은 바깥살림은 집안의 가장에게 일임하고 집안 재산의 관리나 증식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시아버지나 남편, 아들에게 양식이나 반찬거리, 돈 등을 타서 쓰고 살림 지출 내역을 보고하는 경향을 보인다. 과거 부인의 덕을 칭송한 행장이나 제문 등을 보면 남편들이 집안 살림에 신경 쓰지 않게 하는 것을 부인네의 중요한 미덕으로 제시하곤 하였으나, 송씨 집안의 상황은 그렇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는 한편 자손의 공부를 위해 갓 결혼한 아들 부부를 떼어놓고 10대 초반의 어린 손자를 혹독하게 다그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안동 김씨가 양식을 빌리기 위해 삼산군수에게 직접 쓴 시가 무리 없이 집안에 전해 내려오거나 며느리 여흥 민씨가 시아버지와 집안 친척의 관직과 도목에 대해 의논하는 의외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is the paper which were planned to search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omen culture in Chosun Dynasty and is for considering women's lives and culture of Eunjin Song family and furthermore in Chungcheong province.
    Examining appellations and ways of speaking, Song Junkil's family mostly made their daughter's name using Chinese characters. And they gave more preference to their daughters-in-law succeeding to the family than their daughters by calling their daughters-in-law the title of '-daek' but calling their daughters the title of '-jib' or '-sil'. And elders in the husband's family used 'hage-che(하게체)' and 'hao-che(하오체)' to younger daughters-in- law or sisters-in-law and husbands used them to their wives, and elder brothers-in-law respected their sisters-in-law by using '-si(시)-' and husbands also respected their wives by using it.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letters, daughters-in-law of Song family fulfilled their heavy duties of guest reception and holding memorial services of their ancestors while running the big housekeeping as daughters-in-law of a big family. However, most daughters-in-law leaves outer businesses such as production and income to the head of the house except Mrs. Andong-Kim who is a wife of Song Yohwa. And they didn't get involved in the management or increase of the wealth of her family. So they got food, groceries, money and so on from their fathers-in-law or husbands and reported breakdown of the expenses. Meanwhile, Mrs. Anjeong-Na(안정 나씨) got their son and daughter-in-law away from each other and cruelly pressed their grandson of tween in order to make them to study hard. And Mrs. Andong-Kim(안동 김씨) sent a poem to another man who is the governor of Samsan-goon in order to borrow some food. Mrs. Yeohung-Min(여흥 민씨) talked over government posts and domok(도목) of her relative with her father-in-law. These were very unusual things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