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적 삶에 대한 불안과 상상적 귀향: 경판 25장본 <흥부전> 다시 읽기 (Anxiety of urban life and imaginary return-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Heungbu-je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8.02
29P 미리보기
도시적 삶에 대한 불안과 상상적 귀향: 경판 25장본 &lt;흥부전&gt;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40권 / 415 ~ 443페이지
    · 저자명 : 이승은

    초록

    본고는 경판 25장본 <흥부전>의 박사설의 내용과 의미를 살피고, 이를 경판의 향유기반과 연계하여 <흥부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 것이다.
    흥부박사설에는 집터와 오곡, 노적에 대한 관심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농경사회에서의 곡식 축적을 통한 부(富) 획득의 열망이 분명히 나타났다. 그러나 세간치레, 비단치레에서는 상업사회의 경험, 소비욕구 또한 강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사설 내용은 경판본의 향유기반인 서울의 지역적 특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놀부박사설에서 그 면모는 더욱 강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유흥의 즐거움이 존재하나 그 이면에는 불안이 도사리고 있고 한편으로는 지배계층·중간계층의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된 도시 중·하층의 삶이 투영되었던 것이다.
    18세기 이후 서울은 급격히 소비사회, 상업사회의 성격을 지닌 도시로 변모하였다. 그리고 경판본의 박사설은 도시적 삶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중·하층 독자의 관심과 취향,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놀부박사설을 통해 드러난 도시 공간에 대한 불안과 공포는 흥부박이 보여주는 유토피아적 전망으로 상쇄되었음을 경판 25장본 <흥부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gourd narrative in Heungbu-jeon, and represent the new interpretation, considering the reader in 19th Seoul.
    It shows strong wish to be a rich by storing grain in agricultural society in view of the fact that there are great interests for house, various grain, stacks of grain in gourd narrative of Heungbu. However, There also are desires for consumption and experience in commercial society, introducing household goods, various kinds of silk and cotton. It makes us presume the relevancy between the seoul region and narrative, and it seems to be stronger in gourd narrative of Nolbu. Nolbu narrative both include joy of entertainment and dangerousness of squander the property on the hand, also projects the shadow of violence from ruling hierarchy and the middle class scourage to the city poor on the other hand.
    The gourd narrative of seoul block printed Heungbu-jeon reflects their tastes, desires, interests of the lower-middle class reader who lived around the city. Seoul became a commercial society since 18th. It shows the anxiety and fear of city life through the gourd narrative of Nolbu, balancing the utopian prospect through Heungbu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