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과 새로운 삶의 변증법 - 바울의 복음과 자기 부정의 논리 - (Death and A New Life: Paul’s Gospel and the Demand of Self - Abnega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6.09
35P 미리보기
죽음과 새로운 삶의 변증법 - 바울의 복음과 자기 부정의 논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1호 / 403 ~ 437페이지
    · 저자명 : 권연경

    초록

    이 글은 바울의 글을 통해 자기 부정의 성서신학적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기독교인의 자아정체성 형성 및 이를 위한 실천신학적 노력에 성서신학적 도움을 보태려는 작은 시도다. 먼저 자기부정에 관한 간략한 서론 후(I), 자존감 개념에 대한 Vitz의 비판적 견해와 McGrath 부부의 보다 중도적인 주장을 비교하며 자존감 개념의 타당성 여부를 논의한다(II). 이어 바울서신에서 자기 죽음 및 십자가에 달림 개념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그리스도인의 죽음이 1)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죽음에 동참하는 죽음, 2) 죽음을 위한 죽음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삶의 계기로서의 죽음, 그리고 회심 이전 세상과 맺고 있던 부정적 관계 단절로서의 죽음이라는 세 가지 논지가 제시된다(III). 이는 자유로서의 죽음 논의로 이어진다. 여기서는 1) 바울이 선포한 복음 자체가 자유 개념으로 요약된다는 사실 및 2) 이 자유가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에서 율법으로부터의 자유라는 특수한 형식으로 표현되고 있다는 사실이 설명되고, 이어 3) 율법으로부터의 자유가 결코 도덕적 의무로부터의 자유가 아니라는 사실, 그리고 그런 발상은 건강한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실천적 해법으로도 기능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논증된다(IV). 그 다음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바울이 말하는 율법이 인간적 삶의 차원에서 인간적 비교와 경쟁의 가치로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의 한 표현이라는 점, 따라서 바울이 말하는 율법으로부터의 자유가 실상 육체와 그 욕망, 그리고 그 배후에 놓인 세속적 가치체계들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한다는 사실이 설명된다(V). 본론의 마지막 단락에서는,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모든 세속적 경쟁의 가치들을 지우며 다가오는 차별 없는 1) 은혜의 논리가 신자들로 하여금 서로를 향한 사랑의 섬김을 실천하게 한다는 점, 그리하여 2) 바울의 죽음 언어는 결국 이런 새로운 삶을 바라보는 희망의 맥락 속에서 등장하는 것임을 확인한다(VI). 끝으로 전체 논의를 간략하게 요약하는 것으로 논문은 마무리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ttempt to provide a modest assistance to the practical theological endeavor to grasp the Christian notion of self abnegation or mortification. After a brief introductory comment, the study begins with a comparison of the two contrasting approaches to the idea of self (esteem) by Paul Vitz and the McGrath couple(II). Then the first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study clarifies the notion of death in Paul in three aspects: participation into the death of Christ, death as the occasion for a new life in Christ, and death as severance of past, destructive life relationships (III). This leads to the discussion of death as freedom or liberation, with the contention that it means liberation from the law, which, however, should never be taken in terms of liberation from the moral demand to obey God’s will (IV). Then, the real meaning of such freedom is explicated in terms of freedom from what Paul calls “flesh” and its desires, together with the system of value operating behind them (V). The last main section explains how the logic of non-discriminating grace of God, by liberating believers from the secular or worldly system of value, enables them to embark on the life of mutual servitude of love(VI). The study ends with a brief summary of the major lines of argument, accentuating the crucial fact that Paul’s language of death operates within this large story of a new, true life in Chr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