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좋은 삶과 기본소득-기본소득을 향한 드워킨 분배정의론의 재구성 (The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of Dworkin and Basic Incom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5.04
32P 미리보기
좋은 삶과 기본소득-기본소득을 향한 드워킨 분배정의론의 재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도시인문학연구 / 7권 / 1호 / 63 ~ 94페이지
    · 저자명 : 곽노완

    초록

    이 논문에서는 드워킨의 분배정의론, 곧 그의 자원평등론을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그 결과 그의 분배정의론이 가능한 복지수혜의 대상을 원칙적으로 공동체의 개별성원 전체로 확장하고 보편복지정책의 효율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노동중심주의적․선별적인 전통적 복지패러다임의 한계를 어느 정도 넘어섬을 보일 것이다. 또한 그가 자원평등론을 구성하기 위해 요청하는 가설적인 시초의 평등한 상태, 곧 ‘시초평등’이 함축하는 ‘평등한 자원분배’를 단순한 방법론적 전제로 ‘약’하게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추구해야 하는 이상으로 ‘강’하게 해석할 때, 분배정의에 대한 그의 원칙들이 기본소득제를 지지함을 보일 것이다. 나아가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그의 분배정의론의 여러 난점들에 대한 해결책이 된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연구가 다 포괄하지 못하는 자본주의적 분배부정의를 고려할 때, 그의 분배정의론에 대한 이 글에서의 해석 또는 비판적 재구성이 그의 분배정의론을 보다 생산적으로 연구하는 방식이 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드워킨의 복지이론이 전제하는 ‘시초평등’을 이글에서처럼 강하게 해석하여 이에 함축된 기회의 절대적 평등을 추구해야 할 분배정의로 수용하고 ‘누구도 선행하는 권리를 갖지 않는 자원’, 곧 “모든 자연 및 사회역사적으로 유증된 자원과 기회”에 대한 모두의 평등한 권리 및 그 제도화로서의 기본소득제를 인정할 때, 이는 자본주의 사회경제에 의해 구조화된 불평등의 시정을 견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ritically studies on the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of Dworkin, i. e. the theory of equality of resources. As a result, this article shows that his theory gets over the some limits of traditional selective and workfare paradigm of welfare, insofar as his theory expands possible welfare recipients in principle to all individuals of a community and acknowledges the efficiency of universal welfare policy. This article shows also, that the principles of his theory support basic income, if the equal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his ‘equal initial situation’ is interpreted not weak as a mere theoretical premise but strong as an ideal of real distribution. Furthermore, this article shows that this interpretation can be the solution for the some intrinsic problems of his theory. At last, this article highlights that this interpretation or critical reconstruction of his theory can be a more productive study on his theory, considering structural injustice in a capitalistic society to that he does not devote deep study. If we acknowledge the right of all the people to all resources and opportunities which are inherited naturally and historically and the right of all to basic income as its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interpreting ‘initial equality’ which Dworkin proposed strongly and accepting the absolute equality of opportunities implied in this interpretation as the distributive justice to be aimed, than this reconstruction of Dworkin’s theory can steer the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d inequality by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In this sense, this strongly realistic reinterpretation and reconstruction of Dworkin’s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may introduce the new dimension for the radical theory of basic inc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