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손창섭의『유맹』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삶과 작가의 내면풍경 (The Lif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 Inner Landscape of the Author in Son Chang-seop’s Yummeng)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2.12
40P 미리보기
손창섭의『유맹』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삶과 작가의 내면풍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32호 / 359 ~ 398페이지
    · 저자명 : 이경재

    초록

    이 논문은 손창섭의 『유맹』에 등장하는 재일조선인의 불우한 삶과 정체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논의가 기존 논의와 차별성을 갖는 것은 베리(Berry)의 문화변용(acculturation) 모델을 참고하였다는 점과 재일조선인들을 재현의 대상이 아닌 발화의 주체로서 바라보았다는 점, 마지막으로 초점화자 ‘나’를 통해 손창섭의 내면풍경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불평등한 다민족 국가였던 일본은 패전 후 새로운 국가를 만들 때, 단일민족 국가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바탕으로 과거에는 같은 국민이었던 다른 민족을 배제하였다. 이로 인해 재일조선인은 일본 사회에서 오랫동안 비가시적인(invisible) 소수자로 존재하기를 강요받았다. 재일조선인 1세에 해당하는 최원복 노인과 다카무라 고이치(고광일) 노인은 문화변용 모델에 있어, 각각 분리(Segregation)와 동화(Assimilation)의 모습을 보여준다. 최원복과 다카무라 고이치(고광일)의 대비는 음식을 통해서 실감나게 드러난다. 본래 음식에 대한 취향이 정체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체성을 구성한다는 사실에 비춰본다면, 최원복과 다카무라 고이치(고광일)가 만드는 음식의 차이는 이들이 일본에서 겪는 문화변용 모델의 차이(분리와 동화)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1세대와 달리 재일조선인 2세대는 주변화(Marginalization)의 모습을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2세들은 일단 모국문화로부터 분리된 세대라고 할 수 있다. 본래 젊은 층의 이민자는 고령층의 이민자보다 출신국의 문화 정체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재일조선인은 정주지가 식민지 종주국이라는 점과 본국이 남북으로 분단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모국문화와 더욱 거리가 멀어지기 쉬운 환경이다. 또한 이들은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 이전까지 재일조선인들을 기민과 감시의 대상으로만 여겨온 한국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모국문화로부터 더욱 소외될 수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일본 사회가 재일조선인을 인종적 우월감에 바탕하여 배제한 결과 제일조선인은 일본 문화와도 정상적인 관계 맺기에 실패한다. 이처럼 모국문화와 주류문화 양쪽으로부터 소외된 재일조선인 2세는 극단적인 주변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유맹』의 초점화자인 ‘나’ 역시 주변화된 존재이지만, 이 때의 주변화는 구체적인 삶의 현장을 배경으로 나타난다기보다는 내면에서 나타난다는 점에서 다른 재일조선인들의 주변화와는 구분된다. ‘나’는 의식과 무의식이, 조건적인 것과 무조건적인 것이 분열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충동과 본능의 차원에서는 ‘일본적인 것’을 거부하고, ‘한민족적인 것’을 지향한다. 그러나 의식의 차원에서는 일본과의 비교를 해가면서까지 남한에 대해 비판적인 생각을 한다. 이러한 분열로 인해 ‘나’에게 주어진 길은 ‘한국인이 되거나 일본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도 되지 않고, 일본인도 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한 사정은 작품의 마지막 장면에서 귀국하는 최원복을 도쿄역에서 환송한 후에, 착잡한 심정으로 혼자 도쿄 시내를 헤매는 ‘나’의 모습에 압축되어 있다. 지금까지 한국사회와 재일조선인 사이의 관계는 주체와 대상이라는 일방적인 관계였다. 그러나 이처럼 분열된 재일조선인 초점화자 ‘나’를 통한 재일조선인의 재현은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재현과는 다른 맥락을 지닌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poor life and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ppearing in Son Chang-seop’s Yummeng. The difference between this discussion and the existing discussion is that it referred to Berry’s cultural transformation model, viewed Koreans in Japan as subjects of speech, not as objects of reproduction, and finally looked at Son Chang-seop’s inner landscape through the focus speaker “I.” Japan, which was an unequal multi-ethnic country, excluded other peoples who were the same people in the past based on its new identity as a single nation state when it created a new country after the defeat. As a result, Koreans in Japan were forced to exist as invisible minorities for a long time in Japanese society. Senior citizens Choi Won-bok and Koichi Takamura (Ko Kwang-il), who ar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s in Japan, show separation and assimilation in the cultural transformation model. The contrast between Choi Won-bok and Koichi Takamura (Ko Kwang-il) is realistically revealed through food.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original taste for food not only reflects identity but also constitutes cultural identity, the difference between Choi Won-bok and Koichi Takamura (Ko Kwang-il) in food directly shows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transformation model they experience in Japan. Unlik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shows the appearance of marginalization.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s living in Japan can be said to be a generation separated from their native culture. Originally, young immigrants have a weaker cultural identity of their country of origin than older immigrants, and Koreans in Japan are more likely to be far from their native culture due to the fact that their settlement is a colonial host country and their home country is divided into the north and south. In addition, they were forced to be further alienated from their native culture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considering Koreans living in Japan only as a subject of alertness and surveillance from the time of liberation to the 1980s. Next, as a result of Japanese society excluding Koreans living in Japan based on their racial superiority, Korean Residents in Japan fail to establish a normal relationship with Japanese culture. As such,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are alienated from both their native and mainstream cultures, shows extreme marginalization. “I,” the focalizer of Yummeng, is also a marginalized existence, but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Korean residents in Japan in that the marginalization at this time appears from the inside rather than the background of a specific scene of life. “I” can be said to be a divided existenc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In terms of impulse and instinct, they reject ‘Japanese things’ and aim for ‘Korean things’. However, in terms of consciousness, they think critically of South Korea even while comparing it with Japan. Due to this division, the path given to ‘I’ is not to become a Korean or a Japanese, but to not become a Korean or a Japanese. Such circumstances are compressed by the appearance of “I,” who wanders around downtown Tokyo alone with mixed feelings after returning Choi Won-bok, who returns home from Tokyo Station in the last scene of the work. Until now,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ociety and Koreans living in Japan has been a one-sided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reproduction of Koreans in Japan through the focus speaker “I,” which is a divided Korean resident in Japan, has a different context from the general reproduction so f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