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국의 사회주의자 -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이청원의 삶과 실천 (The Socialist of the Empire: The Life and Practice of Marxist Historian Lee Cheong-won)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1.10
60P 미리보기
제국의 사회주의자 -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이청원의 삶과 실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3권 / 119 ~ 178페이지
    · 저자명 : 홍종욱

    초록

    함경남도 풍산에서 자란 이청원은 1930년에 일본 도쿄로 건너가 공산주의를 접하고 노동운동에 가담했다.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은 코민테른의 일국일당 원칙에 의해 일본인 조직과 통합된 상태였다. 이청원은 전협, 공청 등에서 간부로 활동하며 수차례 검거되었다.
    1935년에는 유물론연구회에 참가해 일련의 한국사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유물론연구회는 도사카 준 등 유수한 마르크스주의 학자가 결집한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화 운동의 핵심 단체였다. 당초 이청원의 연구는 백남운의 역사인식을 지지하는 등 한국사의 내재적 발전에 주목했다. 그러나 1936년 『조선사회사독본』에서는 아시아적 특수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전환했다. 유물론연구회에서 교류한 일본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들의 연구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청원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낮게 평가했다. 이는 민족통일전선에 대한 소극적 태도로 이어졌다. 1938년 이후 다시 비합법 활동에 가담했다가 투옥되었다. 전향서에서는 통제경제론, 민족협화론 등 한국이 처한 고유한 조건에 대한 고민이 엿보인다. 중일전쟁기 언론에 비친 한국인 전향 좌파의 시대 인식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었다.
    해방 이후 이청원은 북한 역사학을 선도한다. 그러나 1955년 8월 전원회의 사건 이후 종파주의, 교조주의로 비판받기 시작한다. 민족부르주아지와 연대를 경시한다는 비판이 핵심이었다. 식민지기 민족통일전선에 대한 소극적 태도가 해방 후의 역사연구에도 그림자를 드리운 셈이다. 더 본질적으로는 민족주의에 입각한 단선적 발전단계론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지 않은 탓이었다. 동아시아 제국 질서의 해체와 국민국가 체제의 확립이 뚜렷해지는 가운데, 제국의 사회주의자 이청원의 역사 인식은 설 자리를 잃었다.

    영어초록

    Lee Cheong-won, who grew up in Pungsan, South Hamgyeong Province, moved to Tokyo, Japan in 1930, where he encountered communism and joined the labor movement. The Zainichi Korean social movement was integrated with the Japanes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one country, one party. Lee Cheong-won was arrested several times while working as an executive at th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In 1935, he participated in the Materialism Research Society and published a series of research papers on Korean history. The Materialist Research Society was a key organization in the Japanes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which was convened by prominent Marxist scholars such as Tosaka Jun. Initially, Lee’s research focused on the immanent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such as supporting Paik Nam-woon’s historical perception. However, in 1936, the Reading Book of the Korean Social History turned to emphasizing Asiatic specificity. He is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studies of Japanese Marxist historians who had exchanged at the Materialist Research Society.
    Lee Cheong-won underestimated Korean culture and traditions. This led to a passive attitude toward the National Unification Front. After 1938 he again engaged in illegal activities and was imprisoned. In his conversion statement, concerns about the unique conditions that Korea faced, such as the theory of controlled economy and the theory of national harmony, can be seen. It was in line with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leftist converts who were active in the medi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fter liberation, Lee Cheong-won leads the historiography of North Korea. However, after the events of the plenary session in August 1955, he began to be criticized for sectarianism and dogmatism. Criticism of downplaying solidarity with the national bourgeoisie was the key. The passive attitude toward the National Unification Fro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cast a shadow on the historiography after liberation. More essentially, it was because he did not actively assert the unilinear stage of development based on nationalism. As the dissolution of the imperial order in 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state system became clear,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imperial socialist Lee Cheong-won lost its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