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과 사회적 서비스 지원 (The quality of life in Hysterectomy Women and Social Support)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0.12
23P 미리보기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과 사회적 서비스 지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 / 15권 / 4호 / 49 ~ 71페이지
    · 저자명 : 김영란

    초록

    본 연구는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에 따른 여성성, 자존감, 신체이미지, 자궁중요도, 상실감 등을 통하여 삶의 질을 알아보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사회에서 자궁은 여성성의 상징이자 출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은 자궁상실에 따른 신체적 변화 뿐 만 아니라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즉 정체성의 혼란, 자존감 및 신체적 이미지약화, 그리고 상실감들을 경험하게 되며 한편으로는 자궁절제를 통해 그동안의 자궁질환으로 인한 고통에서 벗어나는 해방감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나 자궁절제후 6개월이후 점차 상실감 등 다양한 수술후 증후군(post hysterectomy syndrome)가 나타나고 이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성, 신체이미지, 자존감, 상실감, 자궁에 대한 인식, 나아가 사회적 지지로서 의료진 및 배우자의 지지를 알아보고 각 변인들이 삶의 질에 어떠한 여성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로 높은 점수의 여성성 및 자궁중요도, 낮은 점수의 신체이미지, 자존감을 보였으며 여성성, 신체이미지, 상실감이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 중 상실감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자궁에 대한 인식전환과 함께 신체적, 심리적 변화와 관련된 정보 및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지원기관 등 사회적 서비스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women who had a hysterectomy, as a matter of course, go through a lot of change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The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ir feminity, self-respect, physical image, womb-importance, and sense of loss, apparently due to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It, therefore, aims to examine the quality of women's lives after having a hysterectomy, and to draw up a social service measures to support them.
    Wombs are, in our society, not only a symbol of feminity but an organ of the body for childbirth. The women who had a hysterectomy naturally experienc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because of losing their wombs. They, that is, suffer from confusion of identity, weakening self-respect and physical image, and sense of loss, but on the other hand they feel like relieving from a lasting pain of womb disease.
    There appear another post hysterectomy syndromes such a sense of loss to them six months since a hysterectomy, so that they cannot help suffering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The continuous changes may considerably affect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e study, targeting the women who had a hysterectomy, surveys feminity, physical image, self-respect, sense of loss, womb-perception, and besides spouse and medical team as a social support. And then it inquires how varied elements affects the quality of their lives.
    It, as a result, shows that feminity and womb-importance get high points, but physical image and self-respect low points. Feminity, physical image and sense of loss affect the quality of their lives, especially sense of loss, among them, has the greatest influence. The study presents a few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es for the women who had a hysterectomy. Above all, perception of womb should be converted, and information and knowledge related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must be provided. For that goal, it draws up the varie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ocial service measures to support and guide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