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精神)과 유희(遊戱) - 『장자』(莊子)의 ‘유(遊)’와 삶의 복원 - (Play and Carefree Wandering in the Thought of Zhuangzi)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2.12
31P 미리보기
정신(精神)과 유희(遊戱) - 『장자』(莊子)의 ‘유(遊)’와 삶의 복원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37권 / 107 ~ 137페이지
    · 저자명 : 김시천

    초록

    ‘놀이’와 축제는 오늘날 일종의 문화적 장치이자 인간 본성의 일부로서 다루어진다. 그리고 동양 철학에서 이와 관련되어 단골로 다루어지는 텍스트는 『장자』이다. 이 점에서는 이 논문 또한 이러한 상식에서 벗어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나는 이 글에서 ‘유’에 관한 분석을 통해 놀이에 관한 기존의 논의와는 다른 차원의 요소를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장자』의 ‘유’(遊)’의 개념, 즉 ‘노닐다’는 말은 ‘놀다’와 ‘놀이’와 는 일정한 의미상의 차이가 있다. 그것은 분명 놀이의 요소를 포함하지만 그와는 삶의 차원과 더 가까운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장자』의 ‘유’(遊)’를 ‘놀이 정신’ 혹은 ‘유희 정신’이라 하며 그 자체로 놀이에 관한 담론이라고 접근하는 것은 제고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자』의 ‘유’(遊)의 개념은 정신적 요소와 관련된다는 점이다. ‘유’는 초월적이거나 종교적인 차원의 것과 관련되기보다 오히려 정치적인 것과 관련되며, 이로부터 기인하는 어떤 ‘정신적 초월’(心遊)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유’는 일정하게 무엇으로부터 ‘떠남’ 혹은 ‘거리두기’를 의미하지만, 정신적 과정으로서 마치 여행처럼 나갔다가 되돌아옴이며, 결국에는 ‘일상성으로 회귀’(世遊)한다.
    셋째, 이러한 논의를 통해 『장자』에게서 드러나는 태도는 삶 자체가 ‘유’(遊)가 된다는 생각이다. 『장자』의 ‘유’(遊)의 정신은 현실이나 세속을 떠나려는 탈속적(脫俗的) 태도가 아니고 현실의 모순을 비판하거나 변화시키려는 변혁적(變革的) 실천은 더욱 아니다. 그것은 정치적, 사회적 변화의 의지가 아니라 한 개체가 겪는 갈등과 억압의 승화를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장자』의 ‘유’는 소극적이며 한계가 있다.
    나는 이러한 ‘유’(遊)가 놀이로서 예술적 영감이나 창조적 활력을 가져온다는 평가에 동의하지만,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의 예술처럼 그러한 힘의 범위는 개체적이며 제한적이다. 따라서 그것이 우리 삶의 변혁, 삶의 조건의 개선, 삶의 향유의 가능성을 가져올까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영어초록

    Play and fest have been studied for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a cultural tool or a part of human nature. Zhuangzi has been the most favorable text in this aspect in Asian philosophy studies. This paper is to articulate a new element of ‘play’ never examined in analogous researches, by analyzing a concept of you[遊], carefree wandering.
    The concept of ‘carefree wandering’ not only encompasses usual concepts standing for ‘play’. It can even embrace a life in whole. Thus the concept of carefree wandering needs to be studied further, diverging from a frame of play spirit alone. The new frame I suggest is carefree wandering as a spiritual transcendence. However I do not mean religions by putting ‘transcendence’, but politics. Carefree wandering can stand for leaving or keeping a distance from something, but also for going back to quotidian lives.
    To Zhuangzi, life is filled with carefree wanderings. You遊 does not tell you to leave from the world nor does it command to criticize or change the world. You遊 only asks a sublimation of conflicts and oppressions which are political events. This paper examines certain limits of Zhuangzi’s you遊 in this aspect.
    I am positive on the you遊 filling the role of bringing artistic inspirations and vitalities. However, this paper will shed light on the negative aspects of you遊 in bringing changes into our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