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 의식과 삶의 언어 - 조병화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 (The consciousness of death and languages for life ―­ focused on Byung Hwa Cho’s poetic world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4.06
26P 미리보기
죽음 의식과 삶의 언어 - 조병화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46권 / 46호 / 311 ~ 336페이지
    · 저자명 : 홍용희

    초록

    조병화의 시적 삶은 죽음 의식을 중심에 두고 살펴 볼 때 가장 정확하고 명징하게 이해된다. 그의 시 세계에서 독창적으로 등장하는 고독, 사랑, 이별, 허무 등의 이미지는 죽음 의식에서 연원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의 죽음 의식은 하이데거의 죽음으로 인한 불안에의 용기를 통해 도달하는 ‘무의 지점’과 상응한다. 하이데거에게 죽음에 해당하는 ‘무’의 지점은 타성적인 일상성에서 벗어나서 단독자로서의 자신의 존재성과 만나는 곳이다.
    조병화의 시적 삶은 이와 같이 ‘무’로서의 죽음의 직시를 통해 자신의 본래적 삶을 추구하는 양상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그는 죽음을 회피하지 않고 불안에의 용기를 통해 직시함으로써 죽음의 의미와 삶의 가치를 인식해 나간다. 그리고 여기에서 더 나아가 죽음을 미리 인식하는 죽음의 선취를 통해 자신과 세계를 전체적이고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구현해나간다. 그래서 그의 시 세계에서는 삶 속에 죽음이, 만남 속에 이별이, 공존 속에 고독이 내재하는 특성을 보인다.
    한편, 그의 죽음의 선취를 통한 본래적 삶의 구현은 점차 죽음을 향한 자유와 삶의 영원성으로 구체화된다. 그에게 죽음 의식의 심화는 더욱 가치 있고 성실한 삶의 태도론으로 이어진다. 주로 ‘어머니’를 매개로 전개되는 죽음의 표상은 삶의 성실성의 당위성을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죽음의식이 세대론적 순환론으로 인식되는 지점에 이르면 삶의 영원성으로 노래된다. 개체적 단절이 계통적 영원성 속에서 인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병화의 시적 삶은 유한자로서의 죽음의 결핍을 회피하거나 초월하지 않고 자신의 실존으로 수용하고 긍정함으로써 자신의 본래적 삶을 직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정한 자유와 자기 구원을 이루어나갔던 것이다.

    영어초록

    Byung Hwa Cho’s poetic life can be accurately and clearly understood when you look into it by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death. Some images such as solitude, love, farewell, futility, transcendence are originated from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his poetic world. His consciousness of death corresponds ‘nought point’ which reaches through the anxious courage by Heidegger’s death. The ‘nought’ point means Heidegger’s death and it is the place where it meets his own existence beyond the inert dailiness.
    Like this, his poetic life obviously shows us the aspect which seeks for this primary life through the direct view for death as ‘nought’. He did not avoid the death and came to realize the life values by facing it with anxious courage. Furthermore, he generally understood his own world by recognizing and preempting the death. So his poetic world has the characteristics such as life with death, live with farewell, coexistence with solitude.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realization for life through his preemption for death is materialized with freedom and eternity for life towards death. The reinforce of the consciousness of death leads to the valuable and sincere life attitude. Mainly, the symbol of death which is followed with ‘mother’ as an intermediation emphasizes the justifiability for sincere life. Also, this consciousness of death recites the eternity of life when it is realized as a generational circulation. It is that the individual severance is recognized with systematic eternity. His poetic life achieved his real freedom and his own salvation not by avoiding or transcending the death as a finite but accepting and affirming as a sub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