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쪽이의 서사로 본 공옥진의 삶과 춤의 의미 (The Meanings of Gong Ok-jin’s Life and Dance Viewed through a Narration of the ‘Banjjog-i(the Half Body Pers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9.12
28P 미리보기
반쪽이의 서사로 본 공옥진의 삶과 춤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63호 / 73 ~ 100페이지
    · 저자명 : 송영림

    초록

    장애가 없는 사람들을 ‘정상인’이 아닌 ‘비장애인’이라 일컫는 것은 모두 장애인이 될 수도 있음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그렇다 해도 비장애인으로서 장애인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당장 자신과 일치시키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그것이 가능했던 사람이 있으니 바로 ‘병신춤’으로 유명한 예인(藝人) 공옥진이다. 그의 험난한 개인사와 예인으로서의 삶뿐만 아니라 겸양과 미덕을 갖춘 인품이 그것을 가능하게 했을 것이다. 그러나 공옥진이 지나온 길에 비해 그의 삶과 예술은 인정받지 못했고 오히려 축소되거나 오해를 받아온 측면이 있다. 그러한 이유로 설화 ‘반쪽이’의 서사를 통해 공옥진을 주목해 보고자 한다. 이야기판에서 오랜 구비전승 과정을 거치며 살아남은 설화는 흥미와 공감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보편적이고 상징적이며 서민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무대에서의 공옥진과 겹치기도 하거니와, 그중 ‘반쪽이’는 특히 공옥진과 닮은 데가 많다. 그의 신체적 형태와 공옥진의 모방춤은 장애 또는 결핍이나 추(醜)에 대한 경계, 편견 등의 상징성을 보여주며 수용자들에게 인식의 전환을 넘어 보다 진화된 의식수준을 요한다. 그들은 굴곡진 삶에 대한 설움과 한(恨), 자신의 불완전함에 대한 자의식과 파토스(pathos) 등을 통해 예술과 삶의 영웅으로서 거듭날 수 있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중요한 지점은 수용자들에게도 자신이 ‘반쪽이이며 온쪽이’이고, ‘병신이며 동시에 병신이 아님’을 스스로 발견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The reason why people call a person with no handicap ‘a non-disabled person’ instead of ‘a normal person’ is that it implies that we all may be a handicapped person. Even so, it is not easy for someone to immediately harmonize the feelings about the handicapped as a non-disabled person with itself. Then, there is a person who was able to do it, and the person is an artist named Gong Ok-jin, who has been famous for ‘the Byeongshin Chum’(‘the dance of the handicapped’). It can be thought that her personality with modesty and virtue as well as her tough personal history and life as an artist would make it possible. However, her life and art have not been recognized fairly compared with the journey that she travelled throughout her life and rather have been reduced or misunderstood by people around the world. Because of this,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Gong Ok-jin through a narration of of ‘Banjjog-i’(‘the half body person’) in a fable. Fables which have survived the process of a long word of mouth transmission in the world of tales bring up interest and sympathy and further have universal, symbolic, and folksy characteristics. It overlaps with Gong Ok-jin on the stage, and among others, especially ‘Banjjog-i’(‘the half body person’) resembles Gong Ok-jin closely. Its bodily forms and her imitation dance show such symbolism as caution against impairment, deficiency or ugliness, prejudice, etc. and require the recipients a more advanced level of consciousness beyond the conversion of perception. They were able to be born again as a hero in art and life through the sorrow and resentment for their tortuous life, and through the sense of identity, pathos, etc. for their imperfectness. And an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they also make the recipients themselves discover the fact that ‘they are ‘Banjjog-i’ (‘a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are ‘Onjjog-i’ (‘a person with abilities’), and that ‘they are ‘Byeongshin’ (‘a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are not ‘Byeongshin’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