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잊혀진 혁명: 중국 개혁개방시기 농촌 잔류여성의 삶 (Revolution Forgotten: Market Reforms and Left-Behind Women in Rural Chin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4.03
33P 미리보기
잊혀진 혁명: 중국 개혁개방시기 농촌 잔류여성의 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30권 / 1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이현정

    초록

    본 논문은 지연된 혁명에서 마저리 울프가 답하고자 했던 핵심적인 질문—과연중국 사회주의는 여성해방에 기여해왔는가—를 2004년부터 2013년까지 허베이성 북부 농촌에서 현장연구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혁개방시기 새로운 역사적 국면 속에서다시 한 번 질문하고 대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특별히 그간 중국 농촌 사회에 나타난 두 가지 형태의 젠더정치학에주목한다. 첫째, 국가가 주도하는 시장개혁 하의 노동구조 재편 속에서 나타나는 ‘농업 및 가족노동의 여성화・비가시화(非可視化)’ 경향이다.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은산업화 및 도시화를 추구하는 과정 속에서 임금노동을 중시해 온 반면 농업노동 및농산물의 가치를 하락시켜왔으며, 이러한 도농 차별적인 정책 속에서 현금이 필요한농민들은 주로 도시 이주를 통해 임금노동에 참여해 왔다. 그러나 농민 여성들의 경우, 타지로의 신체 이동을 제약하는 사회적・문화적 조건으로 인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노동으로부터 배제되어 왔으며, 대신 남성이 떠난 농촌에서 농업노동 및가족노동을 떠맡아왔다. 이러한 개혁개방시기 농촌의 성별 노동분업 양상은, 집체화를 통해 적어도 농업 및 가족노동을 공식적인 사회적 가치로서 인정해 온 마오시기에 비해 농촌 여성이 수행하는 노동을 가치폄하하고 비가시화하는 불평등 구조를고착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둘째, 국가 개입의 약화와 시장개혁 정책 속에서 나타나는 ‘가부장적 가치의 부활’과 ‘새로운 여성성 규범의 등장’이다. 가족 및 여성 개인의 삶을 공산당이 규정한 가치에 의해 국가가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판단・처벌했던 마오시기와 달리, 개혁개방시기 농촌에서 공산당에 의해 비판되었던 가부장적 가치와 태도들은 경제적 부 또는부계 친족 이데올로기의 지지 속에서 종종 정당화된다. 이로 인해 과거에 억제되었던 성매매, 첩살이, 여아방치와 같은 현상들이 조금씩 확산되고 있다. 또한 소비문화의 확산과 도농 간의 문화적 위계 속에서 여성성의 규범화는 시장의 논리 속에서남성과 다른 생물학적 본질주의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즉 여성의 ‘신체적 아름다움’과 ‘자녀양육자로서의 모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이 물질적 궁핍을 상당 부분 해결하고 사회경제적 기회를 확장시켜왔다는 점에서 농촌 여성들의 삶을 이전보다 개선시킨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젠더 형평성의 측면에서 바라보자면 오히려 그 이전보다 성별 간 계층화가 고착되고 불평등이 강화되었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Drawing on Margery Wolf’s classic work Revolution Postponed, andbased on ethnographic research in northern Chinese villages between 2004 and2013,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whether China’s market reforms since 1978have contributed to women’s liberation in rural areas. To attain this aim, thepaper examines two forms of gender politics in reform-era rural China; thefeminization and devaluation of agricultural and family work, and the revival ofpatriarchical violence and the emergence of new norms of femininity. First,compared with Mao-era China, where field and family work was socialized inthe state project of collectivization, new forms of gender division of labor undermarket reforms have tended to devalue women’s agricultural and family work.
    Second, as the state intervention with the individual family has weakened underreforms, patriarchal violence, such as wife beating and having a second wife,has revived in rural areas. At the same time, marketization and consumerculture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new norms of femininity, emphasizing theurbanized body and the passion for child education. In short, this paper arguesthat although China’s market reforms have improved women’s life in terms ofmaterial enjoyment and socioeconomic opportunities, they nevertheless havereinforced gender hierarchy and inequality in rural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