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蓉菴 金炳始(1832~1898)의 삶과 현실인식 (The life and thought of Byeong-Si Kim (1832~1898))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08.03
34P 미리보기
蓉菴 金炳始(1832~1898)의 삶과 현실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44호 / 103 ~ 136페이지
    · 저자명 : 연갑수

    초록

    김병시(金炳始;1832~1898)는 조선후기 최고의 명문이었던 안동 김문 출신으로서 영의정까지 지냈던 인물이다. 개항기 각종 개화정책에 대하여 부정적인 견해를 펼친 보수적인 인물이었지만, 당대인들에게는 청렴하고 강직하다는 평판을 들었다. 철종대 과거에 급제한 김병시는 가문의 후광과 자신의 능력을 바탕으로 대원군 집권기에 이미 고관의 지위에 올랐다. 그가 결정적으로 고종의 신임을 얻게 된 계기는 1875년 별입시로 선발된 것이었다. 김병시 역시 1882년 임오군란, 1884년 갑신정변 등의 위기 상황에서 고종을 위하여 목숨을 걸고 헌신하였다.
    그런데 김병시는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조선에서 정치적 간섭을 강화하여 나가던 청국의 관료들과도 돈독한 관계를 쌓아 나갔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김병시는 조선 조정에서 청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김병시가 청국의 입장을 대변한 것은 선왕의 법을 지켜 나갈 수 있는 지원세력으로써 청국에 대한 신뢰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김병시가 이상적으로 생각한 정치체제는 대신이 중심이 되어 의정부에서 국정을 주도하는 것이었다. 국왕의 역할은 훌륭한 대신을 선정하여 그에게 임무를 맡기되 의심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국왕인 고종이 서양이나 서양에 경도된 간사한 신하들에게 현혹되어 국정을 전단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국가의 재정에 대하여도 인위적인 부국강병정책보다는 절검을 통한 재정 지출의 축소를 지향하였다. 부국강병을 달성하기 위하여 당시 추진되었던 각종 개화정책은 실효도 없으면서 재정을 낭비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화륜선을 이용한 조운, 당오전 발행, 은화 유통, 서양으로부터의 외채 도입, 신식 군대의 양성 등이 모두 김병시가 비판하는 대상이었다. 그런데 김병시의 이러한 개화정책 비판의 배후에는 역시 조선의 내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던 청국의 원세개와의 교감이 있었던 것이 확인된다.
    청국의 국력과 호의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개화정책을 비판하였던 김병시의 입장은 청일전쟁에서 청국이 패퇴하게 되자 변화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으로는 일본의 간섭이 강화되는 것에 반발하던 고종과 다시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화세력과 수구세력들이 서로 지혜를 모아 새로운 국가 법전을 만들자는 주장을 펼치게 되었다.

    영어초록

    Byeong-Si Kim (金炳始) was the man who was a descendant of Andong Kim clan, the most influential cla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ent up to the position of the Prime Minister. He was a conservative politician who stood on the critical attitudes against the Enlightenment or Modernization policies after the opening nation to the Westerners. But he had the public reputation of strict integrity.
    After the success of the state examination in 1885 (the 6th year of King Cheoljong), he reached on the high ranking position of the Government in the mid 1870'. It was very fast promotion, so there must be the influence of his renowned clan and his own ability of an officer. His decisive moment which gained the confidence of King Gojong was the selection of the private meeting member of the King (Byeol-Ib-Si ; 別入侍) in 1875 (the 12nd year of King Gojong). He devoted his royalty to the King Gojong in the face of the risk of his life at the crisis of the Military Mutiny of 1882 and the Coup d'Etat of 1884.
    After the Military Mutiny of 1882, he also mad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Qing dynasty's officers which began to intervene in the Joseon dynasty's domestic affairs. What is more he spoke for the situation of Qing dynasty. The reason why he played that role was his trust on the Qing dynasty as the power which maintain the traditional system of Joseon dynasty.
    The ideal type of political system, Kim thought, was the officials especially the Prime Minister, had the power of the Government. And the role of a king was selection of good officials and entrusting tasks to them without suspicion. But, Kim thought, actually King Gojong was allured by the western-oriented officials who were very wicked, so King Gojong regulated even minor details. Kim intended the financial affluence by the frugality of government, not by the compulsive increasing of modern industries for the national wealth and strength. He criticized the Enlightenment or Modernization policies, which were currently in progress, wasted the finances without the effective results. The lists which Kim criticized were the new policies, eg. the water transport by steamships, the casting of Equivalent of five cash(Dang-o-jeon ; 當五錢), the silver standard, the raise of a foreign loan from western countries,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western style troops. There are some documents which revealed the facts that Kim had several conferences with Yuan Shi Kai(袁世凱), who was the head of the Qing's legation, behind the disparaging statements against the Enlightenment policies.
    The critical view against the Enlightenment policies, which deduced from the trust on the power and goodwill of Qing dynasty, had to be changed after the Qing's defeat of Sino-Japanese War of 1894. At the same time Kim had the close and secret relationship with King Gojong who resisted to the Japanese intervention. At last Kim proposed a new national code which collected the wisdom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Conservative for overcoming the peril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