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의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Elderly)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2.12
9P 미리보기
노인의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노인병학회
    · 수록지 정보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16권 / 4호 / 175 ~ 183페이지
    · 저자명 : 전경숙, 박수잔, 장숙랑

    초록

    연구배경: 노인의 허약은 장애, 사망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주요 건강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이허약의 개념 및 도구 개발 연구에 국한된 경향이다. 몇 안되는 국외 연구들을 통해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상당한관계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나, 우리나라 지역사회 노인을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허약과 신체적 건강 뿐만아니라, 정신적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관계를 탐색하였다.
    방법: 건강 관련 삶의 질과 허약간의 관련성 확인을 위해교차표를 제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혼란 효과를 통제한 후 허약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삶의 질의 수준별 3개 범주의 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proportional-odds cumulative logit model)을 사용하였다.
    결과: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 5개 영역의 점수를 합산하여질 보정 가중치를 적용한 점수(EuroQoL 5 Dimension [EQ-5D] index)를 기준으로 최하위 20%에 해당하는 여성 노인은22.7%, 남성 노인은 13.7%였다. 삶의 질의 5개 구성 요소 별로는통증/불편감(67.1 %), 운동성 문제(42.8%), 불안/우울(32.8%),일상활동 문제(29.3 %) 및 자가 간호문제(10.9%) 순으로 분포하였다. ‘전허약’ 노인 및 ‘허약’ 노인은 건강한 노인에 비해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아질 누적 위험 확률의 교차비가 각각4.70배, 16.11배에 해당하였으며, 건강 관련 삶의 질 5개 영역별로는 ‘허약’ 노인은 ‘건강한’ 노인에 비해 자가 간호 6.47배에서 통증/불편감 11.88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전허약 및 허약은 우리나라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낮추는데 강하게 관련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이루어지는 연구들은허약을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주요 기여 요인으로서 고려해야할 것이다. 또한 허약의 순환 고리를 예방하고 늦추기 위한중재는 허약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Verifying the effect of frail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ay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frailt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Methods: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recruited by judgment sampling of the population of Seocho-gu in Seoul were surveyed in 2011. The Korean frailty index measure developed by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was used as the outcome variable. Proportional odds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frailty.
    Results: We found that,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covariates, being prefrail or frai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portional odds for lowe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n being nonfrail. In addition, of the five component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magnitude of the adverse effects of frailty on HRQoL was largest for pain/discomfort, with anxiety/depression being the second largest.
    Conclusion: Compared to persons who are not frail, older Korean individuals identified as frail and prefrail exhibit significantly lower HRQoL scores. This association between Korean frailty measures and the generic measure of the HRQoL may offer new information to better understand frailty within its broader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