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자력갱생 담론과 인민의 삶대응 양상 연구 (A Study of “Self-Rehabilitation” Discourse and People's Life Response Patterns in North Kore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9.12
28P 미리보기
북한 자력갱생 담론과 인민의 삶대응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80권 / 85 ~ 112페이지
    · 저자명 : 오창은

    초록

    2019년 2월 27일부터 28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끝났다. 북한은 2019년 4월 10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4차 전원회의를 개최하고, 경제적 제재에 대해 전당, 전국, 전민의 총동원령을 선언했다.
    이 연구는 북한의 엄혹한 정치경제 현실이 민중의 삶에 투영되는 양상을 살피려고 기획되었다. 논자는 북한소설에 나타난 민중의 생활상을 통해, 북한의 정치언어가 삶의 언어와 긴장하고 있는 양상을 분석했다. 중요 연구대상 텍스트는 김옥순의 「동창생」( 『조선문학』 2018년 제12호)과 렴예성의 「사랑하노라」( 『조선문학』 2018년 제3호)이다.
    김옥순의 「동창생」은 ‘고난의 행군, 강행군’의 시기에 대한 회상과 현재의 삶을 함께 그린 소설이다. 한송이라는 개성적 인물을 통해 북한 여성의 일상이 전형적으로 포착되어 있다. 대응되는 인물 조명숙은 북한소설에 등장하는 대표적 노력 영웅의 형상으로 그려졌다. 조명숙의 ‘영웅적 형상’이 북한의 공식 정치 이데올로기를 보여준다면, 한송이의 ‘사적이며 가정적 인물 형상’은 북한 인민의 일상적인 삶을 보여준다. 둘은 팽팽히 맞서면서도, 한송이가 조명숙에 감화되는 양상으로 소설은 전개된다. 주목할 부분은 한송이의 생활세계가 그려낸 북한 민중의 삶이다. 한송이는 국가기구를 상대화하는 ‘자력갱생’의 삶을 그려내고 있다.
    렴예성의 「사랑하노라」는 ‘우리식 파마약 개발’을 둘러싸고, 갈등하는 두 인물을 그리고 있다. 소설 속 ‘나’로 등장하는 홍유정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우리식 파마약 개발을 위해 최선을 노력을 다한다. 해외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김정인은 ‘세계를 앞서나가는’ 파마약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둘의 대결을 통해 ‘과학기술강국, 경제강국, 문명강국, 사회주의강성국가건설’을 염원하는 북한 사회의 공식 이데올로기를 확인할 수 있다. ‘나’ 홍유정은 김정인에 감화되어 세계를 선도하는 것에 대한 노력을 포용한다. 이 소설은 주체의식과 세계와의 경쟁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논의가 충돌하는 양상을 보인다. 두 담론의 갈등을 통해 북한 사회가 점차 세계와의 소통을 대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북한 국가기구는 집단주의적 공식성을 북한 인민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북한 인민들은 삶의 논리와 사적 영역의 보존을 위해 고투하고 있다. 이 둘은 ‘자기혁신과 자기 통치의 인간으로의 전환’이 ‘민주주의의 인민적 성격’과 연관되어 있음을 적극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어초록

    A summit between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and US President Trump was held in Hanoi, Vietnam on February 27-28, 2019, but failed to reach agreement. On April 10, 2019, North Korea held the 4th General Assembly of the 7th Term of the Korean Workers' Party Central Committee and ordered the whole party, the whole nation and the whole people to rise against the UN's economic sanc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North Korea's harsh political and economic realities on the lives of its people. To that end, using North Korean novels, it analyzes patterns of tension between North Korea's political language and everyday language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texts of Kim Ok-sun's novel Alumni and Ryeom Ye-seong's novel I Love You.
    Kim Ok-sun's Alumni describes the tensing pattern between the memory of the ‘March of Suffering, Forced March’ people and the current lives. North Korean women's ordinary lives are typified by Han Song-i (who has a strong personality). In contrast, Jo Myeong-suk is portrayed as a typical hard-working hero of North Korean novels. The heroic Jo Myeong-suk presents North Korea's official political ideology, while the private, domestic Han Song demonstrates North Koreans’ ordinary lives. The two confront tightly each other, yet Han Song-i is being gradually impressed by Jo Myeong-suk. The North Korean people's way of life, expressed by Han Song-i, is noteworthy. Through Han Song-i, the life of 'self-rehabilitation" that relativizes Revitalizes the state's organizations is described.
    Ryeom Ye-seong's novel I Love You describes two characters conflicting over the development of 'our-style' perming chemicals. Hong Yu-jeong (the novel’s first-person narrator) does her best to develop 'our-style' perming chemicals which are competitive worldwide. Kim Jeong-in, who studied overseas, insists on the development of world-leading perming chemicals. Through the two's competition, North Korea's official ideology aims to build scientific, technological, economic, civilizational, and socialist power. Hong Yu-jeong, impressed by Kim Jeong-in, embraces efforts to lead the world. This novel shows the conflicting pattern between Juche ideology and the rest of the world. The two conflicting discourses confirm that North Korean society is gradually preparing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North Korean's state organization demands collectivist mandate from North Korean people. North Korean people are struggling to preserve the logic of life and private area. The two suggests that ‘conversion into a human being with self-innovation and self-control' is positively understood to be connected with democratic people's personali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