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과 집단: 인간과 삶에 대한 노자의 시선 (Individuals and Groups: Lao-tzu’s thought on Mankind and Lif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5.11
23P 미리보기
개인과 집단: 인간과 삶에 대한 노자의 시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43호 / 9 ~ 31페이지
    · 저자명 : 이규상

    초록

    삶은 선택이다. 그 선택의 과정과 내용에 따라 인간의 삶은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나게 된다. 행위의 선택에 의해 자신의 삶이 결정되지만, 그 선택이 어떻게 결정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노자는 규범의 보편성과 제도의 합리성을 내세우고 규범의 실천과 제도에 대한 순응을 미덕으로 강조하는 집단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사회에서 개인의 행위 선택과 결정 과정의 매커니즘에 대한 비판을 통해 인간의 삶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이글은 이러한 맥락에서 당대의 집단주의적 문화에 대한 비판을 통해 노자가 전하고자 했던 ‘인간’의 참모습과 참삶의 의미에 대한 윤곽을 그려내는 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고대 중국의 춘추전국 시대는 정치적 격변과 극도의 사회적 혼란 속에서도 제자백가로 불리는 수많은 사상가들이 등장하여 저마다 새로운 정치 상황에 대응하는 방책과 사회적 혼란을 바로잡을 수 있는 원리를 제시하였다. 집단과 개인의 관계에 있어서 집단을 우선시하는 공동체주의적 입장에서 제도와 규범적 가치를 강조하는 학파가 있는가 하면, 집단보다는 개인의 삶을 중시하여 자유로운 삶의 확장을 강조하는 학파도 있었다. 유가, 묵가, 법가 등은 문물제도와 규범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집단의 안정을 도모하고, 이 과정에서 개인의 자유가 불가피하게 제약되지만, 집단의 안정 속에서 확보한 평균적 자유의 총량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반면에 도가는 제도와 규범에 의해 유지되는 집단에 매몰된 개인의 개체성을 회복함으로써 본질적으로 자유로운 개인의 삶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노자는 자신의 시대와 대면하여 현실적 문제들을 진단하고 그 처방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제도나 규범을 새롭게 정비하고 강화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었다. 오히려 제도와 규범이 자연스러운 개체성의 발현을 제약한다고 판단하여, 이 문제에 대한 비판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가 제도와 규범 등 문명에 대한 비판을 통해 얻고자 한 것은 ‘인간’의 발견이었다. 현실의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객체화된 인간’이 아니라, ‘영아(嬰兒)’와 ‘적자(赤子)’와도 같은 자연스러움을 품은 ‘본원적(本原的) 인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문명 속에서 시나브로 잃어버렸던 제자리로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길을 찾아서, 자유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분명하게 일러주고 있다.
    노자의 궁극적 관심은 ‘자유’에 있었다. 자유는 개체로서의 인간이 ‘자연스러움[自然]’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 근원이기 때문이다. 개체로서의 인간이 자유를 갖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두 가지 문제가 해결되어야만 한다. 하나는 외부의 모든 구속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내면적 갈등 즉 자기 자신과의 다툼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자유는 자기 자신의 내적 문제인 것이다. 스스로를 돌아보고 마음의 거울을 닦아[滌除玄覽] 내적 밝음[明]을 얻을 때, 그 속에서 모든 내면적 갈등이 해소되고 마침내 완전한 자유를 누릴 수 있다.

    영어초록

    Life is a choice. In accordance with process and content of choice, human life is revealed in various different looks. Life is determined by the choice of his actions, but most people do not concern about how that choice is decided. Lao-tzu, in traditional societies which are based on collectivism that propounds the universality of norms and rationality of the system and emphasizes practice of standards and conformity to systems as virtues, shows new views on the meaning of human life through a critique of choice of individual action and the mechanisms of decision-making process. In this context, through a critique of the contemporary collectivism culture, this work tries to draw the outline of the meaning of real appearance and life of the 'human' that Lao-tzu was eager to deliver.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ancient China, despite political upheaval and extreme social turmoil, many thinkers known as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had appeared and each one presented principles that can correct the social chaos and cope with new political situation. While there is a school which emphasizes the system and normative value of communities in relation to groups and individuals, other schools emphasized expansion of free life by placing more value on individual life rather than groups. The goal of Confucianism, Mohists and Legalists is to maximize the total amount of average freedom which is obtained among stability of group by strengthening systems and norms even though individual freedom is inevitably restricted in the process. Taoism, on the other hand, argues that human being can return to his free life by restoring individuality of human-being which is buried in a group restricted by systems and norms.
    Lao Tzu, facing the problems in his time, diagnosed problems and suggested the practical solutions. It was different from renewing and strengthening the systems and norms. On the contrary, he considered that systems and norms restrict natural expression of individuality and took the criticism on this issue as a starting point. What he wants to achieve through the critique of systems and norms was discovery of ‘Human-being’. Instead of ‘human-being objectified’ among social networks in real life, he tried to reveal ‘the intrinsic man’ which embraces naturalness that can be found in ‘infant’(嬰兒) and ‘newborn’(赤子). He clearly presents a way to return to the original place lost among civilization and live a free life.
    The ultimate concern of Lao-tzu was in the ‘liberty’. Freedom is a source that can make human-being live a natural life. In order for human being to obtain freedom, two problems should be solved proactively. One is to deviate from any constraint of the outside, and the other is to deviate from the inner conflict, a fight with himself. However, ultimately, freedom is a matter of his own inner self. When mankind obtains inner brilliance[明] by looking back upon himself and polishing the mirror of the mind[滌除玄覽], all the inner conflicts are resolved and mankind can finally enjoy complete free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