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과 해방 전후백석의 삶 (“Namsinuiju Yudong Park-Sibong Bang” andBaek-Seok’s life pre and post Libera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1.06
34P 미리보기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과 해방 전후백석의 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배달말 / 68호 / 323 ~ 356페이지
    · 저자명 : 오성호

    초록

    이 논문은 ‘꼼꼼하게읽기(close reading)’를 통해 백석의 대표작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의 미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백석은 1944년 겨울(1944년 말이나 1945년 초) 만주에서 신의주로 돌아왔다. 이후 그는 해방이 될 때까지 줄곧 신의주에 머물다가 해방 직후에 평양으로 가서 평남 임시인민정치위원회의 통역, 그리고 조만식의 통역비서로 활동했다. 그리고 1947년경부터는 러시아 문학작품의 번역에 전념했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보면 그는 소극적인 수준에서나마 ‘북한혁명’에 힘을 보태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그는 상당한 위험을 무릅쓰고 남한의 매체에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을 발표했다. 이 작품에서 백석은 모든 것을 다 잃어버린 인간이 자신의 과거에 대한 치열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그 상처를 극복하고 다시 세상으로 복귀하려는 의지를 다지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이 런 내용만으로 이 작품이 주는 감동을 설명할 수는 없다. 이 작품의 주는 감동은 “나”의 내면을 채우고 있는 다양하고 복잡하고 모순되기까지 한 감정의 갈등과 대립을 한 편의 드라마의 차원으로 끌어올린 형상화의 방법에서 온다고 할 수 있다. 그 중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자신의 어리석음에 대한 자책과 “나”의 삶을 마음대로 굴려가는 “그보다 더 큰 것”의 존재와 위력에 대한 자각 사이의 대립이다. 전자에 집착하는 경우, “나”는 세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스스로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고 내면에 침잠하는 길을 걷게 된다. 반면 후자의 경우, “나”는 세계의 광포함 때문에 상처받은 ‘무구한 희생자(innocent victim)’인 자신에 대한 연민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나”는 이 양자 사이의 갈등과 대립을 지양(Aufheben; lift / abolish)시킨다. 이로써 “나-세계”의 대립은 어느 한쪽의 일방적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팽팽한 긴장을 유지하게 된다. 시의 마지막 부분에서 화자가 마음속에 품게 되는 “갈매나무”의 이미지는 이런 “나-세계”의 관계를 상징하는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시인은 갈매나무의 “굳고 정한” 본성이 선험적으로 규정된 것이 아니라, 세계의 부단한 상호작용(갈등과 대립) 에 의해서 획득된 것임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어느 먼 산 뒷옆에서 바우 섶에 따로 외로이 서서” 눈을 “쌀랑쌀랑 소리도 나며 눈을 맞을/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시인이 꿈꾸는 참된 삶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처럼 이 시는 ‘나’의 내면을 지배하는 복잡한 감정들의 뒤엉킴과 그로 인한 긴장과 갈등을 절제된 언어, 군더더기 없는 구성, 추상적인 관념을 구체적인 사물과 행동을 통해 압축적으로 보여주면서 패배의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시를 백석, 그리고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에 대한 이해는 이런 작품 분석만으로 완결된다고 할 수는 없다. 특히 이 시의 발표 시기와 발표 방식과 관련된 의문은 여전히 해명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그리고 이후 그가 북한에서 번역가, 혹은 시인으로서의 삶을 받아들이고 안착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도 수다한 의문점이 남아 있다. 이런 의문점들은 더 많은 자료의 발굴과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서 해명될 필요가 있다. 이런 점들에 대한 분명한 해명이 이루어져야 분단 이전과 이후의 백석의 삶과 시를 통일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close analysis of Baek-Seok’s representative work, “Namsinuiju Yudong Park Bong Bang,” including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Baek-Seok moved from Manchuria to Sinuiju in the winter of 1944-likely at the end of 1944 or early 1945. Until Korea’s emancipation, he continued to stay in Sinuiju and then later moved to Pyongyang, where he worked as a translator at Pyongnam Interim People’s Political Committee and as a personal translator for Cho Man-Sik. Starting around 1947, he devoted his time exclusively to translating Russian literature. These details allow one to assume he was contributing to the North Korean Revolution, at least in a passive way. At the same time, he published his poem “South Sinuiju Yudong Park Bong Bang” in a Korean magazine. This poem follows the journey of a man who has lost everything and is slowly coming to terms with his situation through endless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By the end of the poem, the narrator recovers emotionally and is determined to rebuild his life. However, this brief account does not fully explain the poem’s impact. The poem resonates because the poet is elevating complex, sometimes conflicting human emotions and inner turmoil to a dramatic level. The key conflict Baek-Seok stages in the poem is the one between the narrator’s self-reproach for his foolishness and his recognition of the presence and power of the “something bigger” that drives his life. If the narrator is bound to the former, he will isolate himself from the rest of the world and live a life confined to himself, for fear of the world. If, in contrast, he is bound to the latter, he will end up as self-pitying and seeing himself as an “innocent victim,” torn by the violent outside world. Yet the poem’s narrator abolishes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to maintain a tight, tense balance between himself and the world. The buckthorn that the narrator grows in his heart at the end of the poem symbo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and the outer world. The poetic “I” seems to recognize that the buckthorn’s upright and pure characters are not determined a priori but are acquired through incessant interaction with the outer world. In this regard, the buckthorn can be understood as the ideal life of which the poet dreams. The poem’s portrayal of complex human emotions and inner conflicts through restrained language and flawless structure powerfully communicates a lost man’s resilience. This is why the poem is representative not only of Baek-Seok’s oeuvre but also of modern Korean poetry. Yet understanding the poem’s depth remains limited if we only analyze its content. The poem’s publication date and publishing process remain obscure. In addition, details about Baek-Seok’s later years in North Korea-including how he established himself as a translator or a poet-remain veiled. Further critical research and archival work into these biographical details will help us understand Baek-Seok’s life and work pre and post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 more organic and coherent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배달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