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하 나라여자고등사범학교 유학생의 삶 (The Life of the Korean Students at Nara Women’s Higher Normal School 1910-1945)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2.12
40P 미리보기
일제하 나라여자고등사범학교 유학생의 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37호 / 371 ~ 410페이지
    · 저자명 : 김광규

    초록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일본의 관립 여성고등교육기관인 나라여자고등사범학교(나라여고사)의 조선인 유학생에 대해 유학 과정과 유학 생활, 귀국후의 삶에 대해 계급적, 민족적, 젠더적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계급적 측면에서 볼 때, 나라여고사 유학생들은 극소수의 혜택 받은 여성이었다. 이들은 일본 유학과 고등교육이라는 같은 계층의 남성조차도 쉽게갖기 어려웠던 기회를 누렸고, 학력을 바탕으로 중등교원이라는 직업과 결혼을 통해 계층 유지 또는 상승에 성공했다. 나라여고사 유학생들이 귀국후 사회단체 활동이나 민족운동에 참여했던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본인과 친정, 배우자, 시집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할 때, 이들 대부분은 일제강점기에 경제적 어려움이나 식민지배의 폭력과 억압을 직접 경험할 일이거의 없는 삶을 살았다고 볼 수 있다. 즉 이들의 삶은 민족적 측면에서 볼때 지극히 개인적이었다.

    영어초록

    Women's Higher Normal School in Japan(1910-1945). This paper examined their study abroad life and their lives after returning home in terms of class, ethnicity, and gender.
    In terms of class, they were very few women with benefits. They usually worked as teachers at public and private girls' secondary schools after studying abroad and most of them were daughters of a wealthy family and married the highly-educated men with professional jobs. So they suffered little financial troubles and were rarely persecuted by colonial powers. Their lives were extremely personal in terms of ethnicity, as shown in that they were not confirmed to have participated in social group activities or national movements after studying abroad.
    Their lives were influenced not only by their class characteristics, but also by ethnic and gender contradic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ere insufficient women's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where they could work and women'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here they could go in Joseon. In addition, gender division of labor against women, and institutional and customary gender discrimination and restrictions in family and society hindered their social achievement. Even highly educated women could not completely free from male-centered gender division norms. In this regard, the lives of a small number of working moms are highly appreciated in terms of gen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