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盅齋 崔淑生의 삶과 詩世界 (A Study on the Life and the Poetry of Choi Sook-sae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1.02
26P 미리보기
盅齋 崔淑生의 삶과 詩世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58권 / 7 ~ 32페이지
    · 저자명 : 권혁명

    초록

    본고는 충재 최숙생의 삶과 시세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최숙생의 생애를 살펴보았다. 최숙생의 생애에서 주목되는 것은 뛰어난 文才와 ‘直道而行’의 삶의 태도이다. 최숙생의 관직이 삼사에 집중되어 있고, 사은표 작성의 일인자였으며, 能文人으로 주청사에 의망되었던 것, 당대나 후대의 문인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은 문학 등은 최숙생이 뛰어난 문재의 소유자였음을 의미한다. 최숙생은 자신이 옳다고 여기는 일에 대해서 군주 앞에서도 소신을 굽히지 않는 ‘直道而行’의 삶의 태도를 견지하였다. 이는 정치현실에서 강직하고 과감한 公道 수행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예컨대 기묘사림들의 개혁정치의 일환인 현량과 실시를 강력히 주장한 것, 대사헌 때 무녀와 승려들을 도성 밖으로 퇴출시키고 제도를 어긴 사대부의 집을 색출하여 간가를 철거한 것, 충청도 관찰사 때 청탁을 뿌리치고 청양부사 이세정을 파직시킨 것 등이 이에 해당된다.
    3장에서는 최숙생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는데 다음 세 가지로 집약될 수 있다. 첫째, 節操를 지키며 살아가고자 하는 의식이다. 최숙생은 자신이 옳다고 여기는 일에 대해서 군주 앞에서도 소신을 굽히지 않는 강직한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삶의 태도가 절조를 지키며 살아가고자 하는 의식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둘째, 聖代에의 기대감 표출이다. 최숙생은 갑자사화로 유배살이를 하던 중 1506년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홍문관 응교로 중앙관직에 복귀하게 된다. 이후부터 기묘사화 이전까지 삼사 중심의 관직을 역임하며 우찬성에까지 오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중종에 대한 기대감은 聖代에의 기대감으로 표출하게 된다. 셋째, 관직생활의 어려움 토로와 은거지향이다. 관직생활의 어려움은 주로 충청도 관찰사 시절에 지은 시들에서 보이는데 자료의 부족으로 구체적인 이유는 확인하기는 어렵다. 다만, 당대가 남곤, 심정, 홍경주 등 훈구세력들이 주도하는 세상이었고 최숙생이 병으로 고생한 정황이 보인다. 이러한 복합적인 원인으로 최숙생은 관직생활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정치현실을 떠나 은거하고자 하는 지향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life and Poetry of Chungjae Choi Sook-saeng. To sum this up, it is as follows: Chapter 2 examines the life of Choi Sook-saeng. What draws attention in the life of Choi Sook-saeng is the outstanding literary talent and the attitude of life in 直道而行. Choi Sook-saeng’s outstanding literary talent is evidenced by his well-received literary achievements by critics. 直道而行 is to practice what you think is right. Based on this, Choi Sook-saeng fulfilled his duties as a public official by keeping his beliefs.
    Chapter 3 examines the Poetry world of Choi Sook-saeng. There are three main themes. First, I want to live by keeping my Integrity. This comes from the attitude of Choi Sook-saeng’s life to live up to his conviction. Second, he expressed his expectation that Taepyeongseongdae would come. This is because expectations for King Jungjong were turned on. Third, I tried to live in hiding after expressing the difficulties of living in government office. This was because it was a time when the Hun-gu faction took power, and Choi Sook-saeng also had a disease. These things worked in a combination, so Choi Sook-saeng expressed the difficulties of living in government offices and tried to live in hi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