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속 가능한 삶의 동아시아적 원형 (East Asian Archetype of Sustainable 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3.03
32P 미리보기
지속 가능한 삶의 동아시아적 원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93권 / 211 ~ 242페이지
    · 저자명 : 전호근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전근대 시기 동아시아의 사유에 보이는 생태적 삶의 여러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인류가 당면한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상상력을 확장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모색하는 데 있다.
    놀랍게도 19세기 조선의 「농가월령가」에 보이는 삶의 양식이나 『시경』 「칠월」을 비롯한 고대 중국의 시가와 『예기』 「월령」편에 보이는 삶의 양식은 3천 년에 가까운 시간적 차이와 수천 킬로라는 공간적 거리를 뛰어넘어 완전히 동일하다고 할 정도로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들 작품에는 공통적으로 사계절을 비롯한 자연의 운행을 양기의 소식(消息)으로 이해하는 특징이 보이는데, 이는 유학의 경전 『주역』에 보이는 역학적(易學的) 세계관과 일치한다. 역학적(易學的) 세계관은 『주역』 「상전(象傳)」에 보이는 ‘서사적(敍事的) 세계관’과 한(漢)나라 시대에 성립된 괘기역학(卦氣易學)의 원리에 따른 ‘수리적(數理的) 세계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두 세계관에 따라 살아가는 인간의 삶은 자연 친화적이라는 수식이 불필요할 정도로 인간과 자연은 합일(合一)된 존재로 그려져 있으며, 실제로도 3천 년에 가까운 시간을 지속해왔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삶의 한 가지 유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후 위기는 근대의 산물이므로 근대적 방식의 자연관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천 년 동안 지속되어 왔던 동아시아의 생태적 삶을 통해 현재의 삶을 반성해 보는 일이 도움이 없지는 않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and the imagination required to overcome the current climate crisis and seek a sustainable life by examining various types of ecological life in East Asian thought during the pre-modern era.
    Surprisingly, the lifestyles in the 19th century Joseon's “Nongga Wolryeongga(農家月令歌)” and those in the ancient Chinese poems such as Sigyeong(詩經, the Book of Odes)’s “Chilwol(七月)” and Yegi(禮記, the Book of Rites)’s “Wolryeong(月令)” show similar patterns irrespective of the time gap of nearly 3,000 years and spatial distance of thousands of kilometers.
    These works have a common feature of understanding the movement of nature, such as the four seasons, as the run of positive energy, which coincides with the changeological world view presented in the Confucian classics, Juyeok(周易, the Book of Changes). The changeological view of the world can be divided into the "narrative world view" shown in the Juyeok’s “Sangjeon(象傳)”and the "numerical world view" based on the principles of Changeology of trigram-energy established during the Han Dynasty. According to these two worldviews, human life presupposes the unity of man and nature to the extent that the expression nature-friendly is unnecessary, and shows a great example of a sustainable life, in that it has lasted for nearly 3,000 years.
    As the climate crisis is a product of modernity, there are limitations in solving the problem from a modern view of nature.
    Therefore, it will be of great help to reflect on the current ecological life of East Asia, which has lasted for thousands of ye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