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자 삶의 주제와 죽음의 변주 (The Heart of Kongzi's Life and The Variation of Deat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4.12
23P 미리보기
공자 삶의 주제와 죽음의 변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 예술 / 1호 / 45 ~ 67페이지
    · 저자명 : 이시우

    초록

    본 논문은 공자 사상의 주제인 ‘삶의 열정’을 공자의 사유, 감정, 말년의 삶, 그리고 제자들과의 연관 속에서 ‘죽음의 변주’라는 형식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공자는 학문의 관심을 주로 삶의 문제에 두었다. 그는 현세적, 낙관적인 삶의 태도를 중시했고 자아의 실현과 사랑공동체의 달성을 평생의 사명으로 삼았다. 그래서 우리는 사랑공동체를 일구려 했던 공자의 삶을 들여다볼 때, 으레 죽음과 병, 죄와 싸움, 질투와 증오 등 수많은 해악이 아니라 희망의 메시지가 나오길 기대한다. 또 공자의 삶과 사유를 ‘죽음’과 연관시켜 살피는 것이 얼핏 적절해 보이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생각 때문에 죽음을 공자와 연관시켜 연구한 논문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죽음에 대한 공자의 생각과 의미를 추적함으로써 공자 사유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데 의미가 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노인 고독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학적으로 고민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또 웰빙(Well Being)이 중요한 만큼 웰다잉(Well Dying)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잘’ 죽어감과 관련해 전반적인 죽음교육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 따라서 ‘죽음’에 대한 담론이 더 이상 기피의 대상이 아니라 좀 더 다양한 학문적 각도에서 공론화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공자의 삶과 사유, 감정 속에 배어있는 죽음의 감각을 웰다잉의 영상으로 그려볼 것이다. ‘죽음’이 생명(삶)의 충실한 동반자로서 삶의 주된 리듬ㆍ선율 등을 바꾸어 연주하는 변주라고 보고, ‘죽음의 변주’를 공자 사상의 주제인 ‘생명 철학[仁]’과 ‘연대 철학[禮]’의 동반자로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유교문화권의 ‘도덕주의적 죽음의 원형’을 밝히고 우리에게 웰다잉의 의미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quires the key of Kongzi's idea, 'a Passion in Life' through the method of 'a Variation of Death' in relation with his thoughts, feelings, his later life and disciples.
    Kongzi had a great interest in various issues on life. He focused on worldly and optimistic ways of life and tried through his lifetime to achieve self-realization and loving community where could send a message of hope rather than dealing with many harms such as illness and death, crime and war, jealousy and hatred etc. There are relatively few theses and dissertations that have studied Kongzi's life and beliefs in association with death. This paper, therefore, could be meaningful to broaden one's spectrum of Kongzi's thinking by understanding his view of death.
    Our society now has serious philosophical concerns to solve the problems of becoming old and dying alone.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Well-Dying as much of Well-Being we all agreed the need of education on death in modern thanatology. Moreover, discourses on death should be publicly opined in a various academical point of view. Having this critical mind would explore the sensibility of death that appeared in kongzi's life to describe the vision of Well-Being. Death as a faithful companion of life could play a variation on life's major tunes and rhythm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variation of death as a loving companion of life and solidarity which is the key of Kongzi's philosophy. This study in conclusion could find the principle of ethical death in the Confucian culture and contribute to provide the meaning of Well-Dy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