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일코리안 여성의 자기서사와 삶 (Self-Narratives and Life of Korean Woman Residents in Jap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0.08
21P 미리보기
재일코리안 여성의 자기서사와 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일본학) / 51권 / 179 ~ 199페이지
    · 저자명 : 신승모

    초록

    본고는 재일코리안 여성들의 자기서사에 초점을 맞춰서 자서전・구술채록집 등의 형태로 출간된 단행본과, 재일코리안이 주체가 되어 발행한 잡지에 등장한 여성들의 발언을 검토하면서 여성들의 생활감각과 일상사의 제상을 조명했다. 특히 본고는 세대별 여성서사의 차이를 부각시키면서 결혼, 가정, 부부관계, 육아교육 등에 관한 여성들의 의식 변화와 제언을 구체적으로 검토했다. 우선 해방 후 발행된 단행본에 수록된 여성 자기서사물의 서지사항을 목록화하면서 그 내역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개별 작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면서 생활과 삶에 대한 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여성들의 세대 차이와 젠더 문제를 부각시켰다.
    재일1세 여성의 자기서사를 통해서는 전전과 전중, 전후의 격동기를 살아오면서 자신에게 닥친 온갖 수난과 역정을 어쩔 수 없는 운명=팔자로 받아들이는 한편으로,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삶과 운명을 긍정하는 인생철학과 정신사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다음 세대의 젊은 재일여성들의 이야기를 통해서는 조선민족에 뿌리 깊은 유교적 사고의 속박에서 탈피하여 남성지배적이던 부부관계, 가정환경에서 벗어나 ‘가정 내의 민주화’와 평등한 인간관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식 변화와 실천적 의지를 볼 수 있었다. 이 같은 젊은 재일여성들의 의식 변화와 실천은 시대적인 변화 속에서 일어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재일문화 자체를 탈 젠더화하면서 여성들의 자기서사를 다성적이고도 풍요로운 텍스트로 만들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self narratives of Korean women resident in Japan, and is a book published in the form of autobiography and dictation collection, and remarks of women published in magazines mainly published by Koreans in Japan. This paper examined various aspects of women's sense of life and daily history. In particular, this paper highlights the differences in female self narratives among different generations, and specifically examines women's consciousness changes and recommendations regarding marriage, family, marital relations, parenting education, and so on.
    First of all, it listed the bibliographies of women's self narratives books in the book published after liberation, and then discussed individual works in detail, highlighting the generation gap and gender issues of women that can be seen in their attitudes toward life and life. The change of consciousness and practice of young Korean women resident in Japan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has occurred amid the changing times, and is turning the Zainichi culture itself into gender free and rich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