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계 성혼의 삶과 교훈 (The Life and Lessons of Woogye Sung H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6.09
30P 미리보기
우계 성혼의 삶과 교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4호 / 239 ~ 268페이지
    · 저자명 : 박광희

    초록

    우계 성혼(1535~1598)은 율곡, 구봉과 함께 16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문묘에 종사된 동국 18현의 한 분이다. 그는 율곡과 학술논쟁을 벌릴 만큼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지만, 특히 그의 인품과 덕행은 동료 친우들이나 제자들에게 많은 칭송을 받고 존경을 받았다. 율곡은 성리의 이론에 있어서는 율곡 자신이 우계보다 나을지 모르지만, 操行 실천에 있어서는 자신보다 우계가 뛰어나다고 고백하였다. 그리고 율곡, 우계, 구봉의 문하를 넘나들었던 조헌의 우계에 대한 존경과 흠모는 남다른 바가 있다. 우계의 학문이 아니라 그의 덕행과 인품을 우러러 보는 그의 찬사는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다. 율곡이나 구봉보다도 많은 문인들이 우계 문하에 모여들었고, 한결같이 우계에 대한 존숭의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우계의 덕행이나 인품에 대해 주목하게 된다.
    율곡, 구봉과의 道義之交는 친우간의 교제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하나의 전범이 되고 있다. 우계와 율곡, 구봉은 나이도 비슷하고 파주를 중심으로 삶의 무대도 같은 지역으로 어려서부터 친밀하게 지냈다. 그들은 유학에 뜻을 가진 학문적 동지로서 사로 강마했다. 서로 격려하고 비판하고 충고하면서 조선유학의 대 학자로 성장한 것은 의미 깊은 일이다. 특히 우계와 율곡은 ‘동국 18현’으로 추앙되어 사림의 존경을 받고 있으며, 구봉의 불우한 신분에도 불구하고 이 세 분의 우정이 평생 변치 않았음은 배워야 할 교훈이다.
    우계는 일상생활에서 모범적 언행으로 존경을 받았다. 평소 거처할 때는 새벽에 일어나 반드시 사당에 배알하고, 저녁에도 이와 같이 하여 날씨가 춥든 덥든, 비가 오든 바람이 불든, 일찍이 그만두지 않았다. 물러나와 서실에 거처함에는 종일토록 엄숙하여 태만한 모습을 몸에 나타내지 않았으며, 사람을 접하고 사물을 대함에 한결같이 겸손하고 온화함을 위주로 하였으나, 사람들이 스스로 존경하고 두려워하여 감히 함부로 나아가지 못하였다. 집안을 다스리는 데에는 법도가 있어서 절약하고 검소함과 사랑하고 용서함을 힘썼고, 집안사람들에게 직책을 나누어 주고 일을 분담시켜 각각 조리가 있었다. 우계는 집안에 거처할 때 매일 아침 사당에 배알한 뒤에 물러 나와 반드시 바깥사랑채에 거처하여, 일이 있지 않으면 안채에 들어가지 않았다. 내외가 엄격하여 閨門이 정돈되고 엄숙하였으므로, 부인과 의상을 접하고 앉지 않았으며, 앉는 자리를 항상 멀리 떨어지게 하였다. 또 평소 근엄하게 지내어 마치 손님을 모시거나 제사를 받드는 것처럼 공손하고 조심스럽게 행동하였다. 때로 기운이 쇠진하여 지탱할 수 없으면, 등을 병풍에 기대고 앉아서 눈을 감고 숨을 고를 뿐이었다. 그러다가 잠시 후 기운이 다소 소생하면 곧 일어나 앉아 책을 보았다. 이러기를 밤낮으로 계속하여 몸에 병이 들어도 육체와 정신이 피곤한 줄을 알지 못하였다. 또한 작은 일에도 대충 지나치지 않고 부지런히 하여 무릇 손님을 접대하고, 제사에 올리는 물건이나 내외의 집안일로부터 농사일에 쓰는 집기 등의 하찮은 것에 이르기까지 반드시 미리 조처하였다. 그리하여 크고 작은 것이 각각 조리가 있어 모두 편의함을 얻었으며, 일을 당하여 군색하고 급박하게 해서 낭패를 보는 경우가 없었다. 사람과 약속을 하면 비록 상대의 신분이 미천하고 일이 또한 하찮더라도 일찍이 신의를 잃지 않았으며, 손님들과 한담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방에 고요히 앉아 책을 보며 스스로 즐겼다. 이러한 것들은 학문의 힘이 축적된 결과일 뿐만 아니라 천성 또한 그러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우계는 어려서부터 효행을 실천했고, 율곡, 구봉과의 도의지교를 통해 자아를 성취시켰으며, 가학으로서의 도학에 충실하여 소학적 실천에 부지런했음을 알 수 있다. 즉 부친 성수침의 가르침을 통해 정암의 도학에 닿아있고, 멀리 포은, 야은의 의리를 배웠다. 또한 학문하는 법도나 교육하는 師道에서는 항상 敬을 중심으로 한 마음공부에 치중하였고, 소학적 실천을 중시하였다. 아울러 작게는 소학적 실천으로부터 크게는 출처의리에 모범을 보임으로써 진유의 길, 선비의 길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Woogye Sung Hon (1535~1598),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of 16th century Joseon, was one of the 18 hyuen of Donggook who studied in the Munmyou Confucian temple with Yulgok and Gubong. Woogye Sung Hon had profound knowledge of Confucian values to the extent that he could have academic discussions with Yulgok. In particular, his personality and virtues were greatly respected and admired by many colleagues and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Woogye's personality, virtues, and daily life, and use this information to make modern educational lessons. Yulgok acknowledged that he might know more about the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but Woogye was superior in the practice of manners. Choheon who studied under Yulgok, Woogye, and Gubong, had exceptional respect and admiration for Woogye. Just like Woogye's study, Choheon's respect for Woogye's virtues and personality cannot be taken lightly. Many writers wanted to study under Woogye, rather than Yulgok and Gubong, and Woogye's virtues and personality were responsible for gaining the students' constant respect and admiration. Do Ui Ji Gyo (道義之交), along with Yulgok and Gubong, has given us one of the best examples of how to foster a good relationship. Woogye, Yulgok, and Gubong were about the same age and spent their childhood together around Paju. They studied together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as academic colleagues who had the same zeal for studying Confucianism. Through encouraging, critiquing, and advising each other, they grew into the great Joseon Confucian scholars re remember and respect today. In particular, Woogye and Yulgok have long been revered as the “Donggook 18 Hyuen” and are highly respected by the people. Despite the disadvantaged status of Gubong, the three men's enduring friendship is a lesson to be learned.
    As Woogye's father fell into in a critical condition, he tried to donate his blood by cutting his finger, but he hesitated when he thought that people may mistake this act as one meant simply to curry respect through the display of filial duty. Thus, he cut and devoted parts of his thigh twice to save his father. However, few of his children knew the story because he tried to hide completely from people. Moreover, his father, Sung Soo Chim, suffered from nervous disorders for several years, so Woogye took care of his father day and night, never even stopping to change his clothes. He did not leave his father's side. As his father lay in critical condition, Woogye cut his thigh and laid it in ashes. He mixed the ashes with medicine and gave them to his father. Fortunately, his father got better quickly. Thus, Woogye' story was widely praised as one of the best examples of filial piety.
    Furthermore, Woogye's exemplary manners and behaviors in daily life were very respectable. Regardless of the weather, he always bowed towards the shrine when he woke up in the early morning and at night. He was solemn and never neglected his studies in his library. He was gentle and modest when dealing with people or objects, but people feared and respected him such that they could not be friendly with him.
    He followed the customs for managing a household and he lived simply, loving and forgiving the people around him. Also he distributed to and shared duties with the people who worked in his house. When he stayed at home, unless he needed to retire, he always stayed at the Sarangchae after bowing to the shrine. Because Gyumun was very organized and calm due to strict adherence to norms dictating behavior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me, he always met his wife while wearing proper clothing, and he always sat at a distance from his wife. He also behaved politely and carefully, as if he had a special guest or was practicing ancestral rites. He did not lie down during the day time. Whenever he wanted to be lazy, he organized and calmed himself down. If he could not control his body because of illness, he sat leaning on a folding screen and caught his breath while closing his eyes. After recovering for a while, he would read a book while sitting up. Even though he spent his days very busily and sometimes got sick, his body and mind were not wearied. He worked faithfully to do his best at every small detail in his life, even while he entertained guests. He perfectly arranged and prepared everything for ancestral rites, housework, and farming. Because of his diligence, every trivial and important thing was well organized, so everyone in his house felt peaceful. There was no case of urgency or poverty. Even though his social status was low, when Woogye made a promise to someone, he never broke his word. Woogye did not like to have small talk with his guests, but enjoyed sitting down alone and reading a book. His behavior and personality were the result of the accumulation of his wisdom and his nature. Therefore, Woogye practiced filial piety from an early age, attaining self-fulfillment through Do Ui Ji Gyo(道義之交) with Yulgok and Gubong. Also, He tried hard to practice the Sohak commitment to moral philosophy, as Gahak did. Through Woogye's father’s teaching, he practiced the moral philosophy of JungAm and learned the fidelity of Poeun and Yaeun. Furthermore, while he studied the law of academic education in Gahak, he focused on the study of mind and emphasized the practice of Sohak. In addition, he exemplified the practice of Sohak, the path of Jinyu, and the life of the scholar by becoming a great example of Chul Cheo Ui R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