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화원 회화 전통의 계승과 새로운 변화의 모색: 조선민화박물관 소장 《산수도 8폭 병풍》을 통해 본 19세기 화단의 일면 (The Inheritance of the Tradition of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earch for New Changes: aspects of the 19th Century Viewed through the Landscape Folding Screen Housed in the Chosun Mi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3.12
26P 미리보기
조선후기 화원 회화 전통의 계승과 새로운 변화의 모색: 조선민화박물관 소장 《산수도 8폭 병풍》을 통해 본 19세기 화단의 일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화 / 19호 / 64 ~ 89페이지
    · 저자명 : 이연주

    초록

    조선민화박물관에 소장된 《산수도 8폭 병풍》은 비단에 부드럽고 섬세한 느낌의 수묵담채로 다채로운 산수 경관과산 중의 고아한 문인들을 묘사한 것이다. 이 병풍은 관서나 인장이 없어 그 작자나 제작 시기를 명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조선 후기부터 축적된 화원 회화 전통이 19세기에 어떻게 계승 및 변모해 갔는가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된다.
    산수도 병풍은 순수한 감상은 물론 민간의 혼례용으로 주로 제작 및 활용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사계절의 변화와아름다움이 관념산수와 실경산수로 표현되었다. 19세기 이후 근대기에는 사계산수로 구성되는 예가 많았지만 《산수도 8폭 병풍》은 주황색 계열의 잡목 묘사가 같이 나타나 가을 산수를 그린 것으로 보인다.
    이 병풍은 유명 당시 및 송시의 일부와 자제시가 덧붙여 쓰여 있어 조선후기 시의도 제작과 감상의 전통을 보인다.
    화면 중앙에 등장하는 고아한 문인들의 일상은 문인 문화에 대한 동경을 반영한다. 그 소재와 경물 묘사는 조선 후기의 유명 화원 김홍도를 비롯하여 이인문, 김득신, 김석신 등의 화풍이 토대가 되었음이 뚜렷하다. 특히 대대로 화원을배출했던 개성 김씨 가문의 김득신과 김석신의 현존 작품이 마치 화본처럼 활용된 듯 병풍에 영향을 미친 점이 특징적이다. 이는 개성 김씨 가문에서 19세기 말엽까지 화원을 배출하면서 그들에 의해 가내 화풍이 계승되며 화단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일 것이다. 개성 김씨 후손이 아니더라도 그들로부터 회화 수련을 받았거나 사제 간을 형성하여 기량을 훈련했던 인물들을 통해 화풍이 전승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나아가 아회 장면 묘사에서 근대기 화단의 경향까지 엿보이는 점은 전통의 계승과 변화의 추구라는 다층성을 시사한다.
    병풍의 산수 표현은 조선후기 화원 회화 전통을 토대로 하면서도 새롭게 유입된 청의 사왕화풍을 수용하며 변화를모색해가던 19세기 화단의 전개 양상과 일치하며, 특히 김득신의 산수화풍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19세기 화단에서 대표적인 직업 화가로 활동했던 장승업의 영향도 산수 표현에서 확인되며 장승업 문하에서 그림을 배운 근대기의조석진이나 안중식의 산수화풍과도 연결성이 엿보인다.
    19세기 말엽으로 갈수록 화단 저변에서의 회화 제작과 유통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 병풍은 전문성 면에서 부족함이 없는, 상당한 수준의 실력을 갖춘 무명의 화가들이 저변에서 활동하며 회화 제작 활동에 임했던 상황을 짐작하게 해준다. 갑오개혁에 따른 도화서의 해체는 화원들의 활동 영역과 성격의 변화를 초래했는데, 민간에서도 회화제작과 소비가 확대되던 당시 상황 속에서 《산수도 8폭 병풍》과 같은 작품이 제작될 수 있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8-Fold Landscape Screen (山水圖 8幅 屛風) housed in the Chosun Minhwa Museum, depicts a variety of landscapes and the literati in the mountains with a soft and delicate ink-and-wash feature on silk. This folding screen is noteworthy as an example of how the tradition of Hwawon (Court Painters) paintings accumulated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inherited and transformed in the 19th centur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learly grasp the author or the timing of production because there is no official seal.
    Landscape folding screens were mainly produced and utilized for private weddings as well as pure appreci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nges and beauty of the four seasons were expressed as Gyannyum sansu (Ideal Landscape Painting) and Silgyeong sansu (Real-scenery Landscape). In the modern period after the 19th century, there were many examples of Sagye Sansu (Four Seasons Landscape), but the folding screen appears to have the same orange-colored miscellaneous tree description, drawing autumnal arithmetic.
    This folding screen shows the tradition of making and appreciating poem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parts of the famous Tang and Song Dynasty poems and self-help poems have been added. The daily lives of the literati in the center of the screen reflect a longing for literary culture. It is clear that the material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relics were based on the painting style of Kim Hong-do, Lee In-moon, Kim Deuk-sin, and Kim Seok-sin, who were famous court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existing works of Kim Deuk-shin and Kim Seok-shin of the Kaesong Kim family, who produced court painters for generations, influenced the folding screen as if they were an illustrated manual. This may be because the Kaesong Kim family produced court painter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domestic style was inherited by them, affecting the painting group. Even if one is not a descendant of Kaesong Kim, it is possible that the style of painting was passed down through figures who trained their skills by receiving their painting training from them or form student relationships.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description of the literary gathering scenes and the trend of the modern painting circle suggest the multi-layered nature of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and the pursuit of change.
    Landscape expression is consistent with the development of 19th century paintings, which were based on the court painting tradi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sought changes by accepting the newly introduced Four Wangs (四王) painting style of Qing Dynasty, and in particular, reflects Kim Deuk-shin's landscape painting style.
    The influence of Jang Seung-up, who worked as a representative professional painter in the 19th century, is also confirmed in the expression of arithmetic, and it is also connected to the landscape style of Cho Seok-jin and Ahn Jung-sik in the modern era, who learned painting under Jang Seung-up.
    Towards the end of the 19th century, paint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base were also actively developed. This folding screen suggests the situation in which unknown artists with a considerable level of skill, who are not lacking in professionalism, worked on the base and engaged in painting production activities. The dismantling of Dohwaseo (圖畵署) following the Gabo-reformation (甲午改革) caused a change in the area and character of court painters. In a situation at the time when paint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re expanding in the private sector, works such as the folding screen housed in the Chosun Minhwa Museum could have been produc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