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 양상 연구 -판소리 <배비장전>과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rn Acceptance of Narratives -Focusing on Comparison of the Pansori and the Musical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7.10
35P 미리보기
&lt;배비장전&gt; 서사의 현대적 수용 양상 연구 -판소리 &lt;배비장전&gt;과 뮤지컬 &lt;살짜기 옵서예&gt;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36호 / 169 ~ 203페이지
    · 저자명 : 이유경

    초록

    <배비장전>은 실창 판소리로, 남아있는 두 이본은 20세기 초중반에 문자로 정착된 것이며 관련 기록도 적다. <배비장전>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텍스트의 불확실성이 항상 문제가 되었으나, <배비장전>이 실창 판소리이면서도 근대 이후에 다양한 장르와 매체로 활발하게 수용되고 있는 점을 볼 때, 남아있는 이본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이후의 변화 양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배비장전>을 현대적으로 수용한 작품 중 <살짜기 옵서예>는 국내 최초의 창작뮤지컬로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전통 음악극인 판소리를 계승한 20세기의 대중 음악극으로서 인물의 성격, 작품의 구조, 주제의 측면에서 큰 변화를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판소리 <배비장전>과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의 비교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배비장전> 서사는 소화에서 시작하여 판소리로 정착된 후 근대에 이르러 실창 판소리로는 가장 먼저 창극으로 공연되고, 이후 뮤지컬로 수용된다. 판소리, 창극, 뮤지컬은 모두 대중 음악극 형식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는데 서사적 측면에서는 점차 변이를 보인다. <배비장전> 서사는 소화, 판소리, 창극에 이르기까지는 희극이지만, 현대에 이르러 그 내용에 변화가 나타나고 그런 양상은 <살짜기 옵서예>에서 두드러진다.
    먼저 판소리 <배비장전>의 희극성을 살펴보면, <배비장전>은 배비장의 경직성과 비사회성이 웃음을 유발하며, ‘내기와 공모’를 통한 속이기의 구조를 통해 배비장에 대한 거리두기를 가능하게 하여 그에 대한 연민이나 동정 없이 마음껏 웃게 한다는 점에서 희극성을 지닌다. <배비장전>은 이러한 내용을 통해 풍자와 해학을 통한 웃음으로 배비장과 관객 모두를 개선시키고 교정하는 해피엔딩의 주제를 드러낸다.
    이에 비해 <살짜기 옵서예>에서는 배비장과 애랑이 순정적인 인물들로 변모하며, 사랑을 이루기까지의 내적 갈등과 감정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들의 성격 변화는 작품의 서사 구조에도 영향을 미쳐서, 내기와 공모의 구조가 시련 극복을 통한 사랑 성취의 구조로 변하면서 희극적 서사에서 멜로드라마적 서사로 변화한다. 위선적인 인물이 주변인들의 공모로 훼절하여 크게 망신당하는 이야기에서, 낮은 지위의 순수한 남성 주인공이 상층 인물의 주도로 발생하는 시련을 극복하고 사랑을 이루는 이야기로 변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풍자와 해학의 주제는 사랑과 감동의 주제로 변모한다.
    이러한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의 의미는 사회 변화에 따른 장르 혼성과 수용층의 감성 변화로 볼 수 있다. 조선후기에 형성된 <배비장전> 서사는 20세기 중반 이후 전 사회가 근대화를 거치는 배경 속에서 당대의 가장 인기 있는 대중서사양식인 멜로드라마와 결합하여 익숙한 이야기에 새로움을 더함으로써 상업적이고 대중적인 작품으로 재탄생한다. 또한 신분제가 사라지면서 웃음의 주체가 신분 계층에 따른 집단에서 일반 대중 개개인으로 이동하여 공격적 웃음이 아닌 공감의 웃음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비장과 애랑의 사랑을 자연스럽게 만들고 이에 감동하게 한다.

    영어초록

    <Baebijangjeon> is a lost song pansori, and its two remaining versions were recorded in written forms in the early and middle part of the 20th century. Moreover, not many written records of it exist. The uncertainty of its text has always presented a problem in the study of <Baebijangjeon>. However, given that, while <Baebijangjeon> is the lost song pansori, it is actively accepted in various genres and the media,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Baebijangjeon> has changed, focusing on the two remaining versions. Among the various modern styles of the works <Baebijangjeon> that were accepted, <Saljjagi Opseoye>[sweet, come to me stealthily] was successful as the first creative korean musical. As a popular modern musical drama succeeding the traditional musical drama style, it is worth studying since <Saljjagi Opseoye> significantly altere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structure, and theme in <Baebijangje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how <Baebijangjeon> narratives are accepted in modern times by comparing the pansori <Baebijangjeon> and the musical <Saljjagi Opseoye>.
    <Baebijangjeon> narratives began as sohwa[funny story], settled down as pansori, and, in modern times, as the lost song pansori, were performed as changgeuk, eventually transforming into musical. Pansori, changgeuk, and musical possess a common feature in that they are all musical drama. However, in terms of narrative, it has gradually changed. <Baebijangjeon> narratives were comedic from sohwa, and pansori, to changgeuk. But, the contents has changed in modern times, and is conspicuous in <Saljjagi Opseoye>.
    This study considers the comic aspects of <Baebijangjeon>. The rigidity and un-sociability of Baebijang[military attaché Mr. Bae] produces laughter, and, the structure of deceiving him by "bet and conspiracy" is comedic, separating the audience from Baebijang, and enabling them to laugh at him without feeling pity. <Baebijangjeon> reveals the happy ending by improving and correcting both Baebijang and the audience through satire and humor.
    In contrast, in <Saljjagi Opseoye>, Baebijang and Aerang are characters with pure hearts, and the work reveals their internal conflicts and emotional transformation until they come to love each other. Their change of personality influences the work's narrative structure as well, as the bet and conspiracy transforms into success in love by overcoming an ordeal. Thus, the story changes from a comic narrative to a melodramatic narrative. The story is modified from one wherein a hypocritical person is humiliated by relinquishing his integrity through the conspiracy of people around him to one where a sincere lower class protagonist wins love by overcoming difficulties caused by upper class characters. The theme of satire and humor is altered to a theme of love and empathy.
    The implications of the modern acceptance of <Baebijangjeon> narratives can be understood as a hybridity of genres and emotional differences in the audience following societal changes. <Baebijangjeon> narratives construc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renewed as popular commercial works by combining melodrama, popular contemporary narrative styles, and adding novelty to familiar stories. Moreover,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class system, laughter was transferred from groups of different classes to common individuals, changing aggressive laughter to emphatic laughter, thus ensuring that Baebijang and Aerang's love became natural and touc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