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성과 자본주의 체제 종속 담론으로서의 공공성(公共性) 개념과 함석헌의 ‘같이살기운동’의 원리 (The Concept of Publicness as a Discourse Dependent on Modernity and Capitalism, and the Principle of Ham Seok-heon's 'Living Together Movement')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근대성과 자본주의 체제 종속 담론으로서의 공공성(公共性) 개념과 함석헌의 ‘같이살기운동’의 원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韓國宗敎 / 57권 / 248 ~ 274페이지
    · 저자명 : 염승준

    초록

    본 연구는 2000년부터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국내 공공성 담론에서 공공(公共)에 대한 정치학·경제학·철학 등의 다양한 학문 분과에서의 이해와 해석이 서구 근대성과 결부되어 있음을 주목한다. 공공성 개념에서 절대와 초월의 의미를 부정하고 공(公)과 사(私)의 경계와 사이에서의 유동성에 주목하여 공공성을 상대적(相對的)이고 대대적(待對的)인 차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는 공통된 경향과 현상이 우연이 아니라 서구의 근대성과 결부되어 있다는 사실을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가 근대적 조건에서의 근대 학문에 대한 비판적 통찰에 의지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의 통찰은 국내의 다양한 학자와 학문 분과에서의 공공성에 대한 견해의 공통분모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법학·행정학·정책계획학 전공 학자인 최태현이 공공성 개념과 초월성을 등가물로 결부시킨 연구성과는 사회과학 영역의 기존의 공공성 담론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되었다. 대화와 토론의 장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상실한 절망적인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대화와 토론이 갖는 ‘역설’을 간과하지 않고 공공성, 마음 그리고 초월성 개념 간의 내적인 연관성을 밝힌 공(公)과 공(共) 개념에 대한 최태현의 관점이 초월성을 외재적 신에게 투영한 기독교의 절대와 초월의 경지를 인간 마음에 내재한 것으로 해석하는 함석헌의 ‘같이살기운동’의 원리와 긴밀한 유사성이 있어 본 연구에서 함께 다루었다. 함석헌은 인간 각자에 내재한 마음의 절대성이 차별과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원천임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 전통 종교를 함석헌의 기독교와 대립시키면서 대한민국의 민주화가 오직 기독교 우익의 성과라는 『대한민국의 설계자들』에 나타난 김건우의 관점을 비판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notes that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public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political science, economics, and philosophy are linked to Western modernity in the public discourse that has persisted in Korea since 2000. Max Weber (1864-1920) relied on insight into modern studies in modern conditions to discuss the common tendency and phenomenon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publicity at a relative dimension by denying the meaning of absolute and transcendence in the concept of publicity and paying attention to the fluidity between the boundaries of public and private. His insights helped the common denominator of opinions on publicity to be grasped in various areas of scholarship and academic disciplines. In recent years, Choi Tae-hyun's research achievements linking the concept of publicity and transcendence in the fields of law,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planning have become an important measure for critically reflecting 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ublicity discourse. Choi Tae-hyun's perspective, which revealed the inner connection between the concepts of publicity, mind and transcendence for those in desperate situations who have lost their voices in the field of social dialogue and discussion, is in close proximity to Ham Seok-heon's "living together movement,” which interprets the state of absolute and transcendence of Christianity as inherent in the human mind. Ham Seok-heon emphasizes that the absoluteness of the mind inherent in each human being is the source of overcoming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is study criticizes Kim Gun-woo's view that democrat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only the achievement of the Christian right, while contrasting traditional religion with Ham Seok-heon's Christia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宗敎”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