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어야 사는 여자-이인상과 김종수의 여성 제문 연구- (Women Live Only Upon Death-A Study of Lee In-sang andKim Jong-su's Funeral Odes for Wome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1.06
40P 미리보기
죽어야 사는 여자-이인상과 김종수의 여성 제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82호 / 187 ~ 226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초록

    조선시대 여성의 명성은 남성의 증언 없이는 성립될 수 없었으므로 여성을 향해 남성은 話者로서 절대적 특권을 보유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발화와 증언을 통해 결국 도달한 곳은 여성이 아니라 남성 사대부 작가 자신에 대해서이다. 본고는 이인상과 김종수의 여성에 대한 제문을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여성을 보는 시각을 주요 쟁점으로 해서 이인상과 김종수 간의 접점과 변별점을 진단하였다.
    본고의 대비적 고찰은 다음 두 개의 복선 궤도를 오가며 전개되었다. 첫 번째 경로는 남성 사대부 작가와 글 속 대상 여성 간을 오가는 노선이다. 작가의 증언을 고구해보면, 이인상의 아내 장씨와 김종수의 며느리 홍씨는 매우 다른 성격과 얼굴을 지닌 여성이다. ‘知己’와 ‘烈女’라는 이 양극의 여성상은 그녀들의 자화상이 아니라 남성 작가의 일련의 해석이 가해진 초상이다. 이에 그녀들의 모습에서 작가 자신의 초상을 읽어낼 수 있었다. 두 번째 경로는 이인상과 김종수 간을 오가는 노선이다. 이인상과 김종수는 각각 丹壺 그룹의 핵심 멤버와 후속 세대로서 18세기라는 동일한 시기를 살다간 남성 사대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추구한 생의 지향과 물리적 존재 여건에 따라 주변 여성의 삶을 수용하고 기억하는 방식은 대단히 상이하다는 점을 논구하였다.
    여성에 대한 글쓰기를 본격적으로 파고들어갔을 때 그간 모호하게 파악되던 이인상과 김종수 간의 접점이 구체적으로 포착되고, 그들 간의 간과할 수 없는 차이가 유표하게 노정되며, 그들을 둘러싼 생활 환경과 시대의 흔적도 명료하게 드러난다. 남성의 여성 인식은 그의 실체적 진실에 다가서는 주요한 길임을 이인상과 김종수의 글은 예증해주고 있다.

    영어초록

    During the Joseon dynasty, women’s reputation could not be established without the testimony of men. In this regard, men held absolute power, being the very narrators of women’s lives. However, what can be seen from these testimonies and word utterances do not throw light on the women, but on the aristocratic male writers themselves. This article seek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funeral odes written for women by Lee In-sang and Kim Jong-su, focusing on how the women were viewed by the two writers and observing the points of contact and separation between their ideas.
    This paper develops this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alternating between two main thematic tracks. The first focuses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aristocratic male writer and the woman who appears in their writing. Upon studying the two writers’ testimonies, Lee In-sang’s wife Jang-ssi and Kim Jong-su’s daughter-in-law Hong-ssi come across as having very different personalities and outlooks. The contrasting personality types of “wise friend”(知己) and “chaste woman”(烈女) do not arise from self-portraits drawn by the women themselves, but from an image created of them through a series of interpretations drawn by the men. Through the portrayal of these women, it is rather the men’s image of their own selves that come across to the reader. The second thematic track is the thread that connects Lee In-sang and Kim Jong-su. As aristocratic men in the eighteenth century, both were part of the literary group Danho(丹壺), where Lee was a central member whereas Kim was part of the later generation of the group. In spite of these similarities, the two men’s ways of recalling and accepting the lives of the women around them, in accordance with their particular life choices and conditions of material existence, were observed as being quite opposed.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ir writing about the two women, the points of contact between Lee In-sang and Kim Jong-su, which were not explored deeply in the past have been pointed out in all their specificity, the glaring contrasts between the two, their life, as well as the traces of the era they lived in, have all come into clear view. The writings of Lee In-sang and Kim Jong-su exemplify how central portrayals of women by men are in revealing the substantive truth of the writer him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