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이트 아트와 살(chair) (Light Art and Fles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5.04
31P 미리보기
라이트 아트와 살(chair)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133권 / 195 ~ 225페이지
    · 저자명 : 한예경

    초록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철학을 토대로 삼아 라이트 아트와 이를 감상하는 관람객을 고찰한다. 빛을 주된 매체로 삼는 미술인 라이트 아트는 미래주의, 다다, 바우하우스, 구축주의 등 20세기 초 유럽의 아방가르드 미술을 기반으로 등장했다. 최초의 라이트 아트는 바우하우스의 마스터이기도 했던 모홀리-나기가 1930년 내놓은 <빛 소품>이다. 이를 이어 폰타나,  제로 그룹 등 유럽의 미술가들이 빛으로 작업한다. 1960년대 미국에서는 플래빈, 터렐, 어윈 등이 라이트 아트를 발전시킨다. 동시대의 엘리아슨 등은 라이트 아트를 활발하게 제작하고 있다. 그런데 미술 비평에서는 경계를 흐리는 라이트 아트의 특성에 대한 비판이 있어 왔다. 첫째, 라이트 아트가 미술 장르의 경계 및 미술과 산업의 경계를 흐린다는 비판이 있다. 둘째, 라이트 아트가 관람객과 미술 작품의 경계를 불명확하게 만든다는 지적이 있다. 포스터, 크라우스, 비숍 등은 터렐로 대표되는 라이트 아트에 대해 후자의 비판을 가하면서 빛의 매체적 특성이 관람객을 주체로서의 경계를 잃어버린 수동적 존재로 전락시킨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들의 비판과는 달리 라이트 아트는 동시대 미술의 한 경향으로 확고히 자리잡았다. 이에 라이트 아트를 철학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대두하였다. 메를로-퐁티의 철학은 주체/객체, 몸/의식 등 이분법적 경계에 맞서 키아즘을 말하며, 라이트 아트가 체현된 주체로서 현존하는 관람객을 요청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주체가 몸이라는 점에 주목하기 때문에 라이트 아트의 가치를 밝히는 데 적합한 토대가 되어줄 것으로 보인다. 메를로-퐁티는 전기에 몸은 ‘세계를 향한 존재’라고 말하며, 후기에는 이를 넘어 몸과 세계가 살이라는 동일한 원소로 이뤄져 있다고 말한다. 라이트 아트는 실감되기 어려운 살의 차원을 감각적으로 현시하는 하나의 사례로서 고찰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light art and its viewers' experience based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Light art, a form of art that uses light as its primary medium, emerged based on artworks of the European avant-gard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first light artwork was Light Props (1930) by Moholy-Nagy. Following this, European artists like Fontana and ZERO created art using light. In the 1960s, Flavin, Turrell, and Irwin developed light art in the United States. Contemporary artists such as Eliasson are keen on experimenting with light.
    ᅠHowever, light art has often been criticized for blurring boundaries that are considered essential. First, there have been critiques that in light art, the boundaries between art genres and them between art and industry have become indistinct. Second, there is criticism that light art blurs the line between the viewer and the artwork. Foster, Krauss, and Bishop argue that light as a medium of art reduces a viewer to a mere passive being who no longer exists as an independent subject.
    ᅠDespite this, light is firmly established as an essential medium in contemporary art. Thus, there is a need for examining light art philosophically. This paper explores the values of light art based on Merleau-Ponty, who claimed that the subject is first and foremost a body and confronted dualisms such as subject/object, mind/body, etc. According to early Merleau-Ponty, a body is "being-toward-the-world" that constantly changes in contact with the world. In his late period Merleau-Ponty argues that the subject and the world are made of the same element, flesh. Light art can be considered as a manifestation of the world of fles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