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북한산성 관리체계의 변화와 총융청의 재정운영 (Changes in the Management System of Bukhansanseong and the Financial Operations of the Chong’yung-cheong in the 18th Century)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02
48P 미리보기
18세기 북한산성 관리체계의 변화와 총융청의 재정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61권 / 335 ~ 382페이지
    · 저자명 : 최주희

    초록

    영조 23년(1747) 북한산성의 총융청 이속은 도성방어체계를 재편하는 신호탄과도 같은 조치였다. 이로써 총융청-수어청을 거점으로 하는 경기방어체계가 확립됐으며, 북한산성은 총융청의 외영으로서 정조 17년(1793) 수원이 장용영에 이속되기 전까지 남양·수원·북한·파주·장단의 5영의 중심축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재정면에서도 身米와 軍需保米가 주를 이루던 총융청의 수입구조가 북한산성에 비축해둔 군향곡과 30곳의 둔전, 양서지방에서 옮겨오는 小米 등으로 증대됐다. 또한 북한산성과 탕춘대 내에 거주할 모민책을 통해 산성 인근 둔전이 개발되고 군기와 종이, 메주를 만드는 계인과 역인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문제는 정조 17년(1793) 총융청 좌영이었던 수원이 장용영 외영으로 편입되면서, 총융청의 장초, 아병과 군수보가 줄어들고, 양서첨향미의 일부도 장용영에 이속되었다는 점이다. 이로써 총융청의 군사적 위상은 영조대 후반에 비해 크게 위축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장용영이 해체된 순조 초반까지도 회복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경기 서북지역과 도성을 연결하는 방어체제에서 총융청의 역할과 위상은 여전히 지속되었기에, 중앙정부는 총융청의 信地라 할 수 있는 북한산성의 군향과 군기 관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갔다. 이에 북한산성의 군향은 영조대 중반 2만 9천여 석에서 순조 7년(1807) 무렵에는 쌀로만 5만 1천여 석으로 증가했으며, 산성내 2만 5천여 석 정도가 항시적으로 비축되는 수준에 이르렀다. 다만 19세기 중반 총융청이 총위영으로 재편되고, 고종 21년(1884) 폐지되는 시점까지 이처럼 안정적인 재정구조가 어떠한 변화상을 겪는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논의가 필요하리라 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rovides a general overview of the financial operations of the Chong’yung-cheong(摠戎廳) from the 23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1747) to the early 19th century. When Bukhansanseong(北漢山城) was built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it was planned to stockpile 100,000 seok(石) of grain in 110 granary houses, but the actual amount of grain secured was only about 50,000 seok, and the government make Gyungricheong(經理廳), which was the main office of Bukhansanseong, distributed half of it to each town as Hwan-gok(還穀) to be used for expenses. However, due to the loss of original grain due to the poor management of the mountainous grain by Gwanseongjang(管城將), the head of Bukhansanseong, and the inability to conduct military training due to the geographical limitations of the mountainous area, Bukhansanseong was recognized as an abandoned fortres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Yeongjo Dynasty.
    In the 23th year of his reign (1747), Yeongjo transferred Bukhansanseong to the Chong’yung-cheong, and maintained Bukhansanseong and Tangchundae(蕩春臺) fortress as a hinterland of the Capital. In the 40th year of Yeongjo (1764), Bukhansanseong became a military base in charge of the defense system of Gyeonggi Province as a central camp of Chong’yung-cheong, and its income was also diversified. However, in the late Yeongjo Dynasty, many of the army became tax-paying soldiers instead of serving in the military and in the 17th year of Jeongjo (1793), the transfer of Suwon, which had been the left camp of the Chong’yung-cheong, to the outer camp of Jangyongyeong(壯勇營), reduced the number of the Chong’yung-cheong's soldiers and finances, greatly weakening the combat power of the Chong’yung-cheong. This trend did not recover significantly even after the dissolution of Jangyongyeong in 1802, and the military status of the Chong’yung-cheong did not return to that of the late Youngjo Dynasty. Nonetheless, the government was still recognized Bukhansanseong as a key base for the defense of the western and northern borders, so the government continued to improve Chong’yung-cheong‘s main source of revenue, the Hwan-gok, and thus Chong’yung-cheong became relatively stable financial income. As aresult, despite a number of operational problems, Chong’yung-cheong was able to acquire a stockpile of more than 50,000 seok of grain, 20,000 yang of silver, and 15,000 yang of coins in the early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