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남선의 『금강예찬』과 고희동의 금강산연작에서 표현된 국토찬미 (Country Hymns Represented in the ‘Keumgang-Yaechan’ by Choi Nam-Seon and Mt. Kumgang series by Go Hei To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4.10
25P 미리보기
최남선의 『금강예찬』과 고희동의 금강산연작에서 표현된 국토찬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64호 / 281 ~ 305페이지
    · 저자명 : 최유경

    초록

    1924년, 『시대일보』 사장직을 사임한 최남선은 승려 박한영과 금강산을 필두로 전국명산기행에 나섰는데, 그의 금강산기행은 신문연재 후 『금강예찬(金剛禮讚)』이라는 단행본의 출간되었다. 최남선 이전에도 많은 문인들이 금강산에 올랐지만, 그의 금강산기행이 주목받는 이유는 그가 금강산을 민족주의와 결부시키며, 조선민족의 상징, 나아가 동양문화의 정수로 인식하려 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금강산기행직후 최남선은 『청춘』의 창간표지와 삽화를 제작해 준 고희동을 비롯하여 당대를 대표하는 문인 7명과 시서화(詩書畵)동인모임을 시작하는데, 이 모임 직후인 1926년 고희동은 또 하나의 최남선의 국토찬미순례집인 『심춘순례』의 표지와 장정(裝幀)을 담당하는 등 각별한 인연을 이어갔다. 그리고 다음 해 서양화에서 완전히 동양화로 전환한 고희동은 1932년부터 금강산을 주제로 한 작품제작에 몰두한다. 최초의 서양화가로서의 고희동의 존재의의만이 부각되는 가운데, 그의 금강산연작을 거의 주목을 받고 있지 못하고 있지만, 그는 금강산을 “世界에 짝이 없는 純全한 美의 덩어리”라고 언급하며, “우리 것 가운데에서 美다운 美를 畵面에 드러내놓기로 노력하면 자연히 代價도 생겨나고 훌륭한 創作”이 될 것이라고 주창하였다. 이 주장은 그가 금강산 연작을 제작하던 1934년의 것으로 최남선의 잡지와 서적을 매개체로 친밀한 교류를 하였던 고희동의 금강산을 주제로 한 작품들은 조선적인 상징으로서의 금강산을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던 그의 시도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the loss of sovereignty and force of the country, by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in 1910, Westernization and modernization movement through the publication of Choe Nam-seon converted into choseonsim quest for the ideological formation underlying the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integration. In October 1924, country trip led by the Mt. Keumgang derive the historical reality of Korea's ancient history through the work seeing the country to make creation myth into reality and were understood to movement enhance the self-esteem as a Koreans.
    But Choe Nam-seon start siseohwa meeting with literary men representative of the contemporary Western painting, etc. Go Hui-dong, and shortly after Mt. Keumgang journey, and this meeting was sufficient to effect, directly or indirectly, to each other, and Go Hui-dong’s series with the theme of the Mt. Keumgang should begin in earnest after this meeting. In addition, the transition to the oriental painting was done shortly after this meeting also. This can be interpreted as disproving the meeting g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rt of the Go Hui-dong. Because of having discussions about the ethnic identity of the Korea Arts and it’s move direction in members of the meeting in the nature of a meeting.
    Choe Nam-seon and Go Hui-dong, intimate exchange Choe Nam-seon’s magazines and books as a medium, Mt. Keumgang was one of the symbols of the Chosun. so Go Hui-dong was trying to build a his own unique art world symbolic to the Korean people, the theme by the Mt. Keumg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