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리산 기록으로 보는 근대 전환기 江右文人의 시대 인식 (Perception of the Era by the Literary Figures of Gangwoo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s Seen Through Jirisan Record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5.04
36P 미리보기
지리산 기록으로 보는 근대 전환기 江右文人의 시대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93호 / 75 ~ 110페이지
    · 저자명 : 강정화

    초록

    이 글은 근대 전환기 강우문인이 지리산 권역에서 행한 사회적 활동을 중심으로 그들의 시대 인식을 살폈다. 당시 혼란한 국내외 정세에 맞서 강우문인은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는데, 그중 네 곳에서의 활동과 그들의 인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리산은 우리 민족의 靈山이자 내 가까이 있는 우리 지역의 명산이다. 천왕봉은 지리산의 최고봉으로, 조선시대 지리산행의 정점이었다. 근대 전환기 강우문인은 ‘天王’의 ‘王’을 조선의 국왕으로 인식하였고, 지리산 천왕봉이 수천 년 동안 온갖 역경을 이겨내고 건재하듯, 천왕봉을 통해 쇠약해진 조선 국왕의 강건함을 염원하였다.
    하동 악양정은 지리산과 섬진강의 풍광이 어우러진 一蠹 鄭汝昌의 공간이다. 무오사화(1498) 때 폐허가 되었으나, 4백 년이 지난 1901년 강우문인의 주도로 중건되었다. 나라의 위상과 世道가 급격히 쇠락한 근대 전환기에 강우문인은 악양정 중건을 통해 조선 도학의 선구자 정여창의 정신을 다시 구현하고, 이 땅에 그 기풍이 길이 전승되기를 기원하였다.
    南冥 曺植과 연계된 덕산 백운동은 그의 사후 남명학파 후학에게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근대 전환기에 이르러 강우문인에 의해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 이루어졌다. 바로 백운동이 ‘남명의 공간’임을 알리는 ‘南冥先生杖屨之所’라는 여덟 글자를 새기고, 정기적인 講會를 개최하는 것이었다. 강우문인은 백운동에서 쇠퇴한 道의 근원을 찾고, 나아가 강우지역을 응집할 명분과 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대원사는 지리산 동부권역의 대표적 사찰로, 조선시대 내내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근대 전환기에 강우문인이 대거 찾아왔다. 이들은 ‘大源’이란 이름에 착안하여, 大源洞으로 물의 근원을 찾는 유람이 ‘道의 眞源을 찾는 과정’이라 인식하였다. 조선의 儒者는 도의 근원이 하늘에서 나온다고 여겨 本源을 지향하는 공부를 하였다. 강우문인은 天道의 근원에 다가가려는 염원을 대원동에 투영하였고, 대원사는 講學과 眞源을 찾는 주요 명승으로 인식되었다.
    근대 전환기 강우지역에서 행해진 이러한 활동은 위태로운 정세에 대처하는 소극적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통해 강우문인은 단합하고 또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생각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text examines the social activities of intellectual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ity in the Jirisan region, focusing on their perception of the era. In response to the chaotic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these intellectuals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summarized here with respect to four key locations: Jirisan(智異山) is considered a sacred mountain for our people and a prominent local landmark. Cheonwangbong(天王峯) Peak is the highest point of Jirisan and was the pinnacle of journeys to the mountai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intellectuals of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regarded the "King(王)" in "Cheonwang(天王)" as the king of Joseon, and just as Cheonwangbong has endured countless adversities over thousands of years, they hoped for the rejuvenation of the weakened king through the symbolism of Cheonwangbong.
    Agyangjeong(岳陽亭) Pavilion in Hadong(河東) is a space associated with Jeong Yeo-chang(鄭汝昌), blending the scenery of Jirisan and the Seomjin River(蟾津江). Although it was ruined during the Muo Sahwa(戊午史禍) incident in 1498, it was rebuilt in 1901 under the leadership of the intellectual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when the nation's prestige and societal morals were rapidly declining, the intellectuals aimed to revive the spirit of Jeong Yeo-chang, a pioneer of Joseon Confucianism,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Agyangjeong and hoped for the long-lasting transmission of its spirit.
    Baekundong(白雲洞) in Deoksan(德山), associated with Nammyung(南冥) Jo-sik(曺植),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from later scholars of the Nammyung School after his death. However,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significant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y the intellectuals, including inscribing the phrase "Nammyungseonsaengjanggujisuo(南冥先生杖屨之所)" to highlight its significance as 'the space of Nammyung' and holding regular lectures. The intellectuals sought to find the roots of the declining Dao at Baekundong and aimed to create a justification and opportunity for unifying the Gangwoo area.
    Daewonsa Temple(大源寺) is a representative temple in the eastern region of Jirisan, which received little attention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until the modern transition when intellectuals visited it in large numbers. They focused on the name "Daewon" and perceived the journey to find the source of water in Daewondong as a process of seeking the true origin of Dao. Th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believed that the origin of Dao comes from heaven and pursued studies aimed at this origin. The intellectuals projected their aspiration to approach the source of heavenly principles onto Daewondong, and Daewonsa was recognized as a major site for lectures and the search for true origins.
    The activities conducted in the Gangwoo(江右) region during this transitional period can be seen as passive responses to the precarious political situation. However, through these efforts, the intellectuals sought unity and reflected on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as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