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선의 금강산 그림과 그림 같은 시 -진경산수화 의미 재고- (Jeong Seon's Geumgang-san Paintings and the Picturesque Poetry -Reconsideration of the Terminology, 'True-view Landscap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7.06
38P 미리보기
정선의 금강산 그림과 그림 같은 시 -진경산수화 의미 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6호 / 213 ~ 250페이지
    · 저자명 : 조규희

    초록

    鄭敾(1676-1759)은 금강산 그림으로 당대 최고의 산수화가라는 畫名을 얻었다. 그가 금강산 그림으로 대성한 이후, 조선에서는 우리나라의 勝景을 묘사한 실경산수화가 크게 유행하였다. 정선의 화명에 힘입어 18세기 이후 실경산수화는 현재 ‘진경산수화’로 불린다. 그런데 이미 존재하던 전대의 실경산수화와 구별하여 정선 이후의 그림들을 굳이 진경산수화로 칭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가령 ‘남종화풍’의 수용이나 ‘한국적 화풍’이라는 화풍적 차원으로, 혹은 조선중화주의에 입각한 국토애나 실학의 산물로, 혹은 동아시아의 실경산수화 제작 관습으로, 또는 새로운 문예사조나 산수유람 문화의 산물로 각기 진경산수화의 의의를 논한다. 이처럼 진경산수화란 용어는 자의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술사학계 내에서 실은 논란이 많은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개념에 대한 이러한 혼선은 선행 연구 대부분이 정선에 대한 당대의 찬사를 이해하기 위해 정선 산수화의 ‘특별한’ 출현 배경에 연구를 집중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배경보다는 정선의 금강산 그림이 당시에 새롭게 주목받은 맥락인 그의 금강산 그림의 새로운 역할과 의미, 그리고 수용의 문제를 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현재 알려진 정선의 가장 이른 시기의 금강산 그림인 1711년에 제작된 『신묘년풍악도첩』과 1712년 작 『해악전신첩』 두 금강산 화첩을 주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정선의 금강산 그림이 새로운 맥락에서 조명된 문화사적 의의를 논할 것이다. 당시 서울 문예계에서 크게 주목받은 이 화첩들은 금강산의 산수미와 그림의 문예적 역할을 새롭게 인식시켰다.
    이 논문에서는 정선의 금강산 그림으로 시작된 진경산수화란 용어를 재고할 것이지만, 정선의 명승명소도를 ‘진경산수화’와 같은 특별한 용어로 부를 것인가는 실은 부차적인 문제일 수 있다. 어차피 그 용어는 후대에 만들어진 용어이기 때문이다. 보다 본질적인 것은 정선의 금강산 그림에 대한 당대의 새로운 담론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선의 명승명소도가 그림 같은 시, 그리고 그림 같은 산수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허용하였다는 점을 이 논문에서는 주목한다.

    영어초록

    Jeong Seon became a nationally renowned artist for his Geumgang-san paintings. Hi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scenic sites also gained wide currency after his success in the landscapes of Geumgang-san. Under his reputation as the artist of pictures of notable sight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late Joseon society are now called the true-view landscapes.
    However, ‘True-view Landscapes’ is not the terminology of his time. Thus, every researcher uses this term in their own sense. Instead of focusing on that terminology, this paper traces the meaning of an appreciable discourse on issues of Jeong Seon’s Geumgang-san paintings at that time.
    Gim Chang-heup took the lead in the progressive academic traditions and literature of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y Seoul literati society including Jeong Seon. By him, the sightseeing of Geumgang-san and the landscape poetry gained a new and special meaning. The followers of Gim Chang-heup needed Jeong Seon’s landscapes to produce their picturesque poetry.
    The paper explores the context of why the intellectual elite of the time sheds light on Jeong Seon’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Geumgang-san and examines the significant effects of such favorable rece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