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제 모악산(母岳山) 귀신사(歸信寺)의 역사와 인물 (The History and Figures of Temple Gwishin on Mount Moak in Kimje City)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0.07
49P 미리보기
김제 모악산(母岳山) 귀신사(歸信寺)의 역사와 인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17호 / 5 ~ 53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신라 화엄십찰이었던 김제 모악산 귀신사의 역사와 인물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한국불교는 고대의 천신, 산신, 무속 신앙의 원류를 풍류도라는 큰 가슴으로 껴안고 한국 민족 정신의 본류가 되어 도교와 유교와 기독교의 지류에 흘려주어 왔다. 이 때문에 한국사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사상의 한우물로 이어져 왔다면, 한국불교사는 이 한우물을 불러 깨우는 마중물임이 분명하다. 마찬가지로 한국사상사가 삼재사상을 아우르는 풍류도의 한우물로 이어져 왔다면 한국불교사상사는 이 한우물을 불러 깨우는마중물임이 분명하다.
    신라와 고려 이래 왕실과 긴밀했던 신라 화엄십찰 김제 모악산 귀신사에 주석하다 고려시대에 국사로 추증된 원교국사 의상(義湘), 원명국사 징엄(澄儼), 현오국사 종린(宗璘) 등을 한국사상을 깊게 하고 넓게 한 철학자와 사상가로 본다면 그들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 통해 우리의 삶은 좀더 깊어지고 넓어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귀신사를 찾아 교유하면서 시편을 남긴 윤진(尹珍), 설잠(雪岑), 유홍(俞泓), 이기발(李起浡) 및 산문 기록을 남긴 유세무(柳世茂), 이하곤(李夏坤) 등도 귀신사의 소중한 역사와 인물로 수용해야 할 것이다.
    김제 모악산은 선말 한초 이래 풍수지리 도참설과 선천 후천 개벽설과 관련되어온 공주 계룡산과 함께 신흥종교의 발생지로서 주목되어온 산이다. 완주 위봉사와 김제 금산사와 함께 이 지역의 중심사찰인 귀신사는 중수와 중창 및 개창과 보수를 하면서 오늘의 사격을 유지해 왔다. 이 때문에 귀신사를 존재하게 한 염화와 신허및 덕기와 도헌, 조열과 태학 및 연한과 두심, 성천과 봉학 및 수일과 정우(正愚), 춘봉(春峰, 殷德惇)과 김보화(金宝化), 김만송(金萬松)과김강로(金江露), 조종화(趙鍾和)와 정응회(鄭應悔), 김시현(金時鉉)과 송상신(宋相信), 추담(秋潭, 金容順), 유금성, 혜견(慧見, 김춘희)의 살림살이가 더 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신라 화엄십찰 김제 모악산 귀신사의 사격 회복과 중흥 불사에 매진해 오고 있는 용타(龍陀)와 범현(梵玄) 및 무여(茂如)의 살림살이도 귀신사의 역사와 문화 및 인물로서 수렴하고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귀신사의 역사와 문화를 토대로 활용과 보존이 좀더 깊게 고민되고 보다 넓게 확장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and figures of Temple Gwishin on Mount Moak in the city of Kimje, which was one of the ten Huayan temples of the Silla Dynasty. Korean Buddhism emerged as the main ideology of Korea as a result of the magnanimous embracing of beliefs in heavenly gods, mountain gods, shamanism, and Poong-Ryu-Do. Korean Buddhism influenced Tao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in the years to come. The history of Korea demonstrates that the idea of a trilogy of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has been consistently maintained in Korean thought, and this is well reflected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s well. Therefore, we can understand how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itself reflective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Temple Gwishin was one of the ten Huayan temples in the Silla Dynasty, and was deeply associated with the King's Palace in the Goryo Dynasty. Many important figures have passed through the temple throughout history. National preceptors Wongyo Uisang, Wonmyung Jingum, and Hyunwoo Jongrin, who have resided in this temple, contributed greatly to developing profound knowledge and enlightenment in Korean thought. At the same time, there have been many thinkers in Korean history who have visited and exchanged their thoughts with figures in the temple. Among those visitors, Yoonjin, Suljam, Yoohong, and Kibal Lee left their mark through the writing of poetry while Semoo Yoo, and Hagon Lee left their mark through the writing of prose. These visitors also need to be considered as precious parts of the history of Temple Gwishin.
    Mount Moak has been the focus of significant attention, along with Mount Gyeryong, as the site for a new religion with regard to the philosophy of feng shui and the ideology of a new beginning of the world. Temple Gwishin, which has been one of the main temples in this area along with Temple Wibong in Wonju and Temple Gumsan in Kimje, went through many rebuilding, remodeling and renovation stages throughout history to become the temple that it is today. Therefore, the lives of those who have contributed to maintaining and rebuilding the temple, i.e, Yumhwa, Shinhu, Dukgi, Dohun, Joyul, Taehak, Yunhan, Dooshim, Sungchun, Bonghak, Sooil, Jungwoo, Choonbong, Bohwa Kim, Mansong Kim, Kangro Kim, Jonghwa Cho, Unghoi Jung, Shihyun Kim, Sangshin Song, Choodam, Gumsung Yoo, and Hyegyun, need to be studied and highlighted.
    Moreover, those who are contributing to the recovery and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Gwishin at the present time, i.e, Yongta, Bumhyun, and Mooyeo, also need to be considered as cultural figures of this particular period, and their lives need to be properly respected.
    I hope more support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practical use and conservation of the temple based on it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will be possible, as Temple Gwishin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cultural heri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