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지』에 나타난 동학과 지리산 모임의 성격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Donghak and Jirisan Group Appearing in Toji)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3.06
35P 미리보기
『토지』에 나타난 동학과 지리산 모임의 성격 변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80호 / 87 ~ 121페이지
    · 저자명 : 박상민

    초록

    이 글은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총 4차례의 ‘지리산 모임’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각 지리산 모임이 작품 전체에서 어떤 서사적 기능을 수행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의 활동이 ‘지리산’이라는 지역적 매개를 넘어서 민족의 생존이라는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 데에 복합적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1차 지리산 모임은 윤씨가 임신한 사실을 숨기려는 사적인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이들은 신분과 종교가 서로 달랐지만, 생명을 살려야 한다는 일념으로 모였다. 이들의 활동으로 김환이 태어나고, 윤씨는 삶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 2차 지리산 모임은 허윤보가 주도한 의병 집단이다. 이들은 조준구를 죽이고 일제와 맞서 싸우려 했다는 점에서 이전에 비해 집단적이고 민족적인 열망을 잘 보여주었다. 1차 지리산 모임이 사적인 정리에 기반한 개인적 서사라면, 2차 지리산 모임은 마을을 지켜야 한다는 모두의 열망이 드러난 집단적 서사라 할 수 있다.
    3차 지리산 모임은 김환과 동학 잔당이 중심이 되어 결성되었다. 이들은 일본과 직접 대결하지 않고 변질된 의병인 화적패에 타격을 줌으로써 일본의 식민지 전략에 균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활동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동학농민전쟁의 실패에 대한 해한(解恨)의 서사로 기능한다. 4차 지리산 모임은 김길상이 지리산 모임의 해체를 선언하면서 새롭게 조직된다. 이로써 지리산 모임은 동학의 후예라는 그 동안의 정체성에서 자유로워지면서 오히려 더욱 다양한 민족 구성원이 참여하게 된다. 동학이나 유학에 기반한 종교 서사들이 마침내 민족 서사로 통합된 것이다.
    작품 속 지리산 모임은 모두 ‘동학’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은 실패하였지만 사회적 모순을 혁파하려는 동학의 정신은 우리의 근대사에서 면면히 이어져 오면서 다양한 종교 및 사상과 교류하였고, 사회 변혁을 위한 구체적 실천으로 나아갔음을 작품 속 지리산 모임은 알려주고 있다. 그 과정에서 동학은 종교적 색채를 점차 옅게 하면서 더 많은 종교 및 사상들을 습합해 나갈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total of four ‘Mt. Jirisan gatherings’ in Park Kyong-ni’s Toji, and based on this, analyzes what kind of narrative function each Mt. Jirisan meeting performs throughout the work.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reveal that their activities are functioning in a complex way to reveal the theme of the work, the survival of the nation, beyond the regional medium of ‘Mt. Jiri’.
    The first Jirisan meeting was organized for the private purpose of hiding the fact that Yoon was pregnant. Although they were of different social status and religion, they gathered with the single-mindedness of saving lives. Thanks to their activities, Kim Hwan was born and Yoon was able to continue his life. The 2nd Jirisan Meeting was a righteous army group led by Huh Yun-bo. They showed their collective and national aspirations better than before in that they killed Jo Jun-gu and tried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If the first Jirisan gathering is a personal narrative based on personal affections and interests, the second Jirisan gathering is a collective narrative revealing everyone's aspirations to protect the village.
    The 3rd Jirisan meeting was formed with Kim Hwan and Donghak remnants at the center. They acted in a way that cracked Japan’s colonial strategy by giving a blow to the Hwajeokpae, a degenerated righteous army, rather than directly confronting Japan. Their activities function as a narrative of erasing regret for the failure of the Donghak Peasant War. The 4th Jirisan gathering is newly organized when Kim Gil-sang announces the dissolution of the Jirisan gathering. As a result, the Jirisan gathering is freed from its identity as a descendant of Donghak, and rather more diverse ethnic members participate. Religious narratives based on Donghak or Confucianism were finally integrated into ethnic narratives.
    All of the Jirisan group in the work a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Donghak’. Although the Donghak Peasant War in 1894 failed, the spirit of Donghak to overthrow social contradictions has continued throughout our modern history, interacting with various religions and ideologies. The Jirisan group in the work tells us that it has progressed toward concrete practice for social change. In the process, Donghak was able to merge with more religions and ideas while gradually fading his religious col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