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에 나타난 이상사회의 비전 (On a Vision of Ideal Society Represented by Donghak-Based Peasants' Rebellion in Jirisan Reg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5.06
28P 미리보기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에 나타난 이상사회의 비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35호 / 273 ~ 300페이지
    · 저자명 : 소병철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영호남의 지리산권에서 일어났던 갑오년의 동학농민혁명에 당대 조선 민중의 꿈과 열망이 어떠한 이상사회의 비전으로 투영되었는가를 규명해 보려는 데 있다. 주지하다시피 당시의 조선은 매관매직의 악폐로 드러난 관료기강의 문란과 봉건관료층의 가혹한 수탈이 초래한 민생의 파탄이 극에 달한 상황이었고,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뒤부터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탈도 점점 노골화되던 총체적 난맥의 한가운데에 있었다. 동학농민혁명은 이러한 난맥이 배경이 되어 발생한 반제ㆍ반봉건 변혁운동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동학농민혁명 내에서도 지리산권의 위상은 특기할 만한 데가 있었다. 예컨대 동학의 포덕이 본격화되기 전, 자신을 수상히 여기던 관의 지목을 피해 고향땅 경주를 떠난 최제우에게 최초로 궁벽한 은둔의 장소를 제공한 곳은 남원의 교룡산에 있는 은적암(隱蹟菴)이었다. 그는 1861년 11월부터 1862년 3월까지 그곳에서 「論學文」, 「修德文」, 「敎訓歌」, 「劍歌」, 「道修詞」, 「安心歌」, 「勸學歌」 등의 저작을 완성하며 동학의 이념과 교리를 체계화하는 한편 동학의 전국적 포덕을 위한 지역적 초석을 착실히 다져 나갔다.
    김개남이 이끈 제2차 동학농민혁명이 남원지역에서 발화하여 전국으로 봉기가 확산되는 출발점을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것은 그러한 사상의 산실 및 포덕의 중심지로서 남원지역이 수행했던 역사적 역할과 깊은 관련이 있다. 지리산권의 일부분인 남원지역의 그와 같은 위상만 보더라도 우리는 지리산권이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의 확산에 미친 상당한 영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지리산권은 가히 동학사상의 진원지이면서 동학농민혁명의 씨앗이 발아된 곳이라고 할 만한 역사적 중요 지역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마침내 실패로 끝난 이 혁명으로 지리산권을 비롯한 조선 강토의 곳곳에는 숱한 선혈이 뿌려지게 되었다. 그렇다면 혁명의 대가로 뿌려진 이 선혈의 의의는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당대의 민중은 도대체 무엇을 얻고자 그처럼 참혹히 피 흘리는 희생을 마다하지 않았던 것일까? 논자는 동학 특유의 교리적 요소 중 하나인 시천주(侍天主) 사상의 의의를 규명함으로써 그 물음에 대답하려고 했다. 논자의 주요 논지는 만인의 내면에 한울이 모셔져 있다고 하는 동학의 시천주 교리가 만민평등의 정치철학으로 재해석되면서 이상적 평등사회를 열망하며 무기를 잡아 든 농민군의 투쟁에 이념적 동력을 제공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the idealistic dreams and aspirations of Korean people were reflected in Donghak-Based Peasants' Rebellion of the year 1894 in Jirisan region. As we know, in those days Korea was un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trafficking of official posts and the severe exploitation of feudal bureaucracy were bringing about the ruin of people's livelihood, and the imperialistic acts of aggression of Japan were being gradually intensified since the 1876 Treaty of Kanghwado. Donghak-Based Peasants' Rebellion is a anti-imperialistic and anti-feudalistic reformative movement which occurred against the background of such a natioal crisis.
    By the way, the position of Jirisan region in this movement deserves special mention. For example, before the propagation of Donghak began to get into its stride, Jewoo Choi had left his homeland Kyeongju to stay off the radar of the authorities and first found the unfrequented retreat called ‘Eunjeogam(隱蹟菴)’ in Kyoryongsan of Namwon. There he systemized the basic ideas and doctrines of Donghak and laid the regional foundation for the nationwide propagation of Donghak, writing the works as ‘Nonhakmun(論學文)’, ‘Sudeokmun(修德文)’, ‘Kyohunga(敎訓歌)’, ‘Keomga(劍歌)’, ‘Tosusa(道修詞)’, ‘Anshimga(安心歌)’, ‘Kwonhakga(勸學歌)’ and so on from November 1861 to March 1862.
    Thereafter, Gaenam Kim led the Second Donghak-Based Peasants' Rebellion in Namwon region, and hereby Namwon became a starting point for the nationwide spreading of rebellion. These were possible owing to the above-mentioned historical role of Namwon Region as the cradle of ideas and doctrines of Donghak, and the center of its propagation. Judging from these facts, we can say that the Jirisan region, including Namwon, made a big impact on the nationwide spreading of Donghak and Donghak-Based Peasants' Rebellion. Straightforwardly speaking, Jirisan region is a historically critical region, which can be called the birthplace of theories of Donghak and Donghak-Based Peasants' Rebellion.
    But the rebellion turned out a failure at last, and with this, many parts of Korean land, including Jirisan region, were covered with the peasants’ blood. Then, what was the significance of such blood shed at the expense of rebellion? For what were Korean people of those days willing to undertake the so tragically bloody sacrifices? I tried to answer this question by clarifying the implications of ‘Shicheonju(侍天主)’, one of the dogmatic elements characteristic of Donghak. My main point of argument is that it implies the holy ‘Hanul(Heaven)’ is immanent in all sorts of people, and this way of thinking was transfigured into the political philosophy of universal human equality and supplied the ideological fuel to the struggle of peasants armed with the aspirations toward a ideal pantisoc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