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서해양 민요공동체 산다이의 섬 사이 교류와 의미 (Inter-island Exchange and Meaning of Island-sea Folksong Communi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4.04
35P 미리보기
도서해양 민요공동체 산다이의 섬 사이 교류와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40권 / 1호 / 249 ~ 283페이지
    · 저자명 : 홍순일

    초록

    이 논문은 ‘놀이를 지향하는 소리문화의 연행물’인 산다이를 도서해양 문화공동체의 관점에서 주로 완도(보길도 포함), 증도, 지도, 거문도, 남해도(창선도 포함) 등의 현지조사 자료로 살펴지고, 산다이문화의 교차적 공간확장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현사회에서 산다이의 소통적 문화행위가 논의된 것이다.
    우선 민요공동체(산다이)는 섬의 시각에 따라 여러 가지 상황을 볼 때 섬마을사람들에 발생하는 공동의 유대나 집합정신을 지녔다. 즉, 민요공동체(산다이)의 일반성은 문화권역이 전개되고, 지역문화가 특성화된 실체로서, 놀이를 지향하는 소리문화의 연행물이고, 도서민 남녀의 갱신활동(更新活動)으로서 시가무(詩歌舞)+놀이라는 전유행위를 통해 형성·유통된다. 그리고 자연적·역사적·사회적 조건에 근거한 일상·생산·갱신활동의 통일과 그 작용에 의해서 변화·발전한다. 또한 그 개별성은 신앙, 의례, 놀이, 노동 등이 통합된 개방적 장르 체계를 가지고, 민요공동체의 독특한 기능을 환기한다. 그리고 민요공동체의 의미를 부여하는 자체의 문예발전사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산다이의 문화적 성격은 도서민이 교차적 공간확장을 통해 어로활동을 전개하는 면에서 더욱더 활성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서민이 산다이문화를 유통시키는 모습의 하나는 ‘섬 자체’이다. 도서민은 민속공동체의 장기지속과 교육을 위해 일생의례, 세시풍속과 관련시켜 시가무를 융합시키는 산다이를 한다. 그 결과 도서지역 민요의 연행은 시가를 조합하고, 시가무를 융합하며, 시가무와 놀이를 결합한다. 이와 동시에 마을 또는 마을간 이동을 통해 신명풀이을 추구한다.
    도서민이 산다이문화를 유통시키는 모습의 다른 하나는 섬 사이인 ‘섬에서 섬으로’이다. 도서민은 지역특산물의 단기변화에 따른 생산을 위해 생산의례, 민속놀이와 관련시켜 원정 어로활동을 할 때 시가무를 융합시키는 산다이를 한다. 도서민이 혼인 또는 어기(漁期)·어장(漁場)·어종(魚種)에 따라 교차적으로 조기, 멸치 등 고기잡이 공간을 한국 해역으로 확장해 가기 때문이다.
    끝으로 산다이문화는 어장권간의 결절점(結節點)을 형성하고 있는 문화코드이다. 산다이문화는 ‘예술대상+예술가+예술작품+독자·청중·관객’의 관계 속에서 어로문화의 구비전승자원과 함께 살필 때 해류에 따른 고기잡이로 섬에서 섬으로 유통되고, 도서민이 구비문학의 창조성을 공동체에 부여하며, 또한 삶의 본래 모습을 새롭게 돌아보게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peculated on Sandai, ‘a Sori cultural performance towards play,’ mainly through spot surveys on Wan-do (including Bogil-do), Jeung-do, Ji-do, Geomoon-do, Namhae-do, etc., from the perspective of island-sea cultural community, and focused on the crossing space expansion of a Sandai culture, at the same time, reviewed on Sandai’s communicative cultural activity in the present society.
    First, a folksong community (Sandai) contains ties or group spirits in common which occur in islands residents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islands in consideration of a few circumstances. In shor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 folksong community (Sandai) are a reality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district and the specialty of a local culture; a Sori-cultural performance towards play; and a renewal activity of island men and women, and the characteristics are produced and circulated through a monopoly activity which consists of poem-song-dance and play. Moreover, it became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unity and interaction of daily life-production-renewal activities based on natural-historical-social conditions. In addition, i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possess open genre systems in which religion, ceremony, play, labor, etc., are integrated, and recall a unique function of a folksong community. It also has its own literature history which endows the meaning of a folksong community. Meanwhile, these cultural characteristics Sandai can be increasingly activated through the aspect that island people do fishery through crossing space expansion.
    Second, one of scenes through which island people circulate their Sandai cultures is ‘island itself.’ Island people present Sandai performances that converge poem, song and dances in linkage with rites of passage and seasonal customs for the purpose of long-term existence and education of the community. As a result, the folksong performance in the island regions combines poem and song, converges poem, song and dance, and conjoins poem-song-dance with play. At the same time, people pursue delight by moving from town to town.
    The other scene in which island people distribute their Sandai cultures is ‘from island to island’ circulation. The residents play Sandai performances when they go an away fishing in relation to a rite of production and a folk game, for the production based on the short-term change of a local specialty. It is because island people increasingly expands their fishing spaces of yellow corbina, anchovy, and so on in cross-sectional boundaries according to wedding, or fishing season, fishing ground and fish species.
    Last, the Sandai culture is a culture code which forms a node between fishery bounds in Korea. The Sandai culture enables people to distribute cultures from fishery island to island according to sea currents; assign the creativity of oral literature to a community; and reflect their original nature when the Sandai culture is reviewed together with the oral heritage of a fishery culture in relation to ‘artistic subject+artist+artworks+reader-spectator-aud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