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 이동 설화의 이원적 세계관과 형상화 방식 (Dualisticworldviewsandrepresentations in Mountain-moving tale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11
39P 미리보기
산 이동 설화의 이원적 세계관과 형상화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67권 / 141 ~ 179페이지
    · 저자명 : 홍연표

    초록

    이 글은 <산 이동> 설화가 원질과 현실 질서에 대응되는 이원론적 창세관을 근간으로 성립하는 것으로 보고, 어떠한 방식으로 보편적 세계관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논리와 형상화 차원에서 고찰하려는 목적으로 쓰였다. 구체적인 창세 양상은 산의 이동과 멈춤과 같이 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아 혼돈의 양상을 보이는 원질과 이를 바로잡는 질서를 표상하는 정동(靜動)의 대립으로 압축된다. 전자의 경우 그것이 지닌 무한한 창조의 생생력과 가능성을 드러내기 위해 유동하는 물질의 특성을 시각 층위에서 구현하는 방향으로 서사화된다. 물리적 법칙이나 질서의 지배를 받지 않는 상황을 움직일 리 없는 산의 이동과 관련짓고 있다는 점에서 태초의 혼돈상과 직결됨을 알 수 있다.
    반면 질서는 풍부한 물질성을 지니고 유동하는 산에 대해 종종 우위를 갖는 방향으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산의 움직임을 멈추게 하는 정(精)적인 원리가 우선한다는 사유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보이지 않는 특성이 더불어 강조되면서 원질과 대비를 이루는 경향 또한 관찰된다. 산이 움직이는 비정상적 상황을 목도한 여성이 그럴 리가 없다는 인식하에서 놀라 내뱉은 말이 그대로 실현되는 형태가 일반적인데, 이는 보이지 않지만 분명 존재하며 사물을 통어하는 물리적 법칙이나 질서를 언어로써 형상화한 것에 다름이 아니다.
    아울러 방망이로 산허리를 찌르거나 지면 또는 다른 산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이동이나 성장이 저지당하는 식의 회화적 표현은 현실 질서가 지닌 절대성과 위력을 표상하거나 질서 자체의 속성을 강조해서 표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원질 혹은 물질과 질서의 대립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태도는 <산 이동> 설화에 수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풍수지리 사상에도 나타나며, 타국의 신화에서도 관찰된다는 점에서 인류 보편의 세계관에 해당한다. 산의 이동과 같은 현실에 상대되는 가정을 통해 현실의 절대성을 해체하고 객관화하거나, 이성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피안의 세계를 상상함으로써 자유와 해방을 추구하는 태도가 반영된 서사가 <산 이동> 설화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the story of the Mountain Movement is based on a dualistic view of creation that corresponds to the nature and the law of reality, and how it reveals a universal worldview in terms of logic and representation. The creation is compressed into the opposition of the Chung-Dong(靜動), which represents the raw material and order, such as the moving and stopping. First, raw material is narrated in a way that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flowing matter on a visual level to reveal its infinite creative vitality and possibilities. It is related to the chaos in that it relates a situation that is not governed by physical laws.
    Order and law, on the other hand, is different in that it is often established in a way that gives it an advantage over the moving mountain. This corresponds to the idea of the predominance of an energetic principle that stops the movement of the mountain. Next, we also observe a tendency for the invisible qualities to be emphasized and contrasted with the primal qualities. A common example of this is when a woman who witnesses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a mountain moving, exclaims in surprise because she recognizes that it cannot be so, and the words she utters are literally realized, which is nothing more than a linguistic representation of the physical law or order that is invisible but clearly exists and governs things.
    Furthermore, pictorial representations such as a stick piercing a hillside, or a mountain whose movement is hindered by obstacles such as the ground or another mountain, seem to be a dissipation of the intention to express the absoluteness and power of the order of reality or to emphasize the attributes of the aforementioned order. The attitude of perceiving the world as an opposition between nature and order is also observed in the mythology of other countries, indicating that it corresponds to the universal worldview. This reflects the attitude of seeking freedom and liberation by deconstructing and objectifying the absoluteness of reality through assumptions that are opposed to reality, such as the movement of the mountains, or by imagining a world of sanctuary where the laws of reason do not app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