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원의 「山水經」과 중국 산수화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o Yuan's 「Sansugyeong」 and Chinese Sansuhw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02
28P 미리보기
도원의 「山水經」과 중국 산수화의 관련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1호 / 295 ~ 322페이지
    · 저자명 : 이민경

    초록

    본고는 道元의 『正法眼藏』에 수록되어 있는 「山水經」에 나타난 산수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도원의 자연관을 통해 선종사상의 관점으로 밝히고자 한다. 또한 중국의 산수화를 통해 산수화가들의 정신과 인격수양에 관하여 살펴보고 중국 선종사상이 산수화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 조동종의 종조였던 도원선사는 중국 조동종의 선승이었던 長翁如淨禪師에게 그 가르침을 전해 받고 송나라(1227)에서 묵조선을 수행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일본의 선종사찰과 자연과의 합일된 점은 사찰 내부의 조경형식으로 들어나게 되었다. 중국의 산수화풍은 동진의 顧愷之에서부터 시작하여 송나라 원나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자리하기 시작하였다. 宗炳 산수화의 이념과 양식 등은 荊浩에 의해 확산, 전이 되었고 郭熙를 통해 볼 수 있는 것(有爲)과 볼 수 없는 것(無爲)의 차이의 접근을 통일시키기에 이르렀다. 곽희의 이런 사상은 과거 종병이 펼친 산수의 靈을 세속의 정신이 초월된 것으로 보아 遠의 관념으로 발전 변화시킨 것이다. 산수화풍이 통일되면서 형식미만 갖춘 그림이 아닌 정신도 함께 담은 회화가 집대성되기 시작하였다. 많은 산수화가들 가운데 형호의 기운론은 내용적 발전을 드러내면서 가슴에 담았던 산수를 기운을 통해 회화로 표현되어 산수화의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형호가 활발한 활동을 하던 당말과 곽희가 산수화의 三遠이론을 전개시키던 북송 때에는 禪學이 발달하였으며 선종사상이 풍미하던 시대였다. 이런 시대적 배경 속에 산수(자연주의)를 배경으로 한 山林文學과 不立文字를 내세운 선종사상은 많은 이들에게 철학적, 예술적 깊이를 더해 주었다. 자연의 풍미가 가득하고 선종사상이 팽배했던 시대에 자연경관과 대상을 통한 회화에 관한 묘사는 기운을 통해 수립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이 활동하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볼 때 선학이 알려지며 많은 이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
    당의 시대적 배경을 고스란히 앉고 송나라는 시작되면서 그 시대 도원선사는 유학길에 올랐으며 그의 사상적, 예술적 깊이를 통해 쓴 글이 『정법안장』이다. 『정법안장』에 담긴 「산수경」을 바탕으로 본인의 실제 체험한 경험과 자신의 입장 전모 뿐 아니라 당시 송나라 선종의 모습도 파악할 수 있다. 송나라 유학길에 올랐던 도원선사가 산수절경에 감탄하여 쓴 「산수경」이 어떤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중국 산수화를 통해 회화적 표현으로 전개되는 산수의 본질적 모습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landscapes as depicted in 「Sansu Gyeong」 included in Do Won's 『Jeongbeop Anjang』, aiming to illuminate Do Won's view of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Zen Buddhism. Additionally, it aims to examine the spiritual and character cultivation of landscape painters in China, and the connection between Chinese Zen Buddhism and landscape painting.
    Do Won, the founding patriarch of the Soto Zen sect in Japan, is said to have received teachings from the Chinese Zen monk Jang Ongyeongseon and practiced silent meditation in the Song Dynasty(1227). The integration of Zen temples and nature in Japan was reflected in the landscaping within the temples. Chinese landscape painting, starting from the Eastern Jin Dynasty, gained prominence during the Song and Yuan Dynasties. The ideologies and styles of landscape painting were spread and transformed by the artist Hwang He, culminating in a unification of the visible(有爲) and the invisible(無爲). Hwang He's philosophy further evolved the spiritual transcendence of landscapes, previously depicted by landscape painters, into a concept of remoteness(遠). With the unification of landscape painting styles, paintings became more than just formalistic art; they also embodied the artists' spirits. Among many landscape painters, Hwang He's theory of qi(energ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expressing the landscapes held in the artist's heart through qi.
    During the late Tang Dynasty, when Hwang He was active, and the Northern Song Dynasty, when the “Three Distances” theory in landscape painting was developed, Zen Buddhism flourished. In this era, Zen Buddhism, with its emphasis on naturalism in landscape-oriented literature and non-reliance on written words, added philosophical and artistic depth. The paintings of natural landscapes and subjects from this era had to be established through qi, given the prevalence of Zen Buddhism.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ang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Song Dynasty, it is evident that Zen Buddhism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Do Won began his scholarly journey during this era, and his philosophical and artistic depth are reflected in 『Jeongbeop Anjang』. By examining 「Sansu Gyeong」 in 『Jeongbeop Anjang』, one can understand not only Do Won's pers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but also the state of Zen Buddhism in the Song Dynas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tent of 「Sansu Gyeong」, written by Do Won in admiration of natural landscapes, and to examine the essential nature of landscapes as expressed in Chinese landscape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