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태산 박중빈의 형세론적 풍수관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Sot’aesan Park Chung-bin’s view on Feng-Shui of Hyeongse theo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2.12
31P 미리보기
소태산 박중빈의 형세론적 풍수관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4호 / 289 ~ 319페이지
    · 저자명 : 조인철

    초록

    원불교 100주년을 맞이하여 창시자인 소태산과 원불교사상에 대한연구가 여러 방면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소태산의 풍수관은 소태산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지엽적인 것이기는 하나, 한번은 짚고 넘어가야할 것으로서 그 가치를 가진다. 소태산은 암울한 시대의 지도자로서그를 따르는 많은 추종자들의 생존을 책임져야만 하였다. 특히 모든 것이 열악하고 부족한 원불교 초창기에는 만년기지가 되어야할 터를 선택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시설을 건축함에 있어서 지도자로서 조금의시행착오도 허용되지 않는 그런 입장에 있었다. 이런저런 측면에서 당시 그가 혼자 감당했을 그 만의 절박한 심정을 이해한다면, 그의 풍수관을 단지 지엽적인 것으로 소홀하게 다룰 수만은 없는 것이다. 소태산의풍수는 철저히 음택발복적 측면을 멀리하는 것이었으며, 살아있는 사람에게 절실히 요구되는 생존을 위한 풍수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게다가 원불교의 여러 시설들의 입지를 정함에 있어서, 당장 보기에 외진곳으로서 불편하고 보잘 것 없어서 가치가 없어 보이는 땅이었지만, 소태산은 장래를 내다보고 결국 실속있고 가치있는 땅이 되는 바로 그 곳을 과감하게 선택하는 탁월한 풍수적 안목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대각이후 그가 터를 선택하고 이용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생각과 안목을가지고 있었는가하는 것을 풍수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본연구는 풍수의 형세적 이론의 틀인 용·혈·사·수의 관점에서 그의환경관, 자연관, 입지관, 건축관 등을 풍수관이라는 주제로 묶어 분석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studies about Sotaesan(少太山) and the thought of Won-Buddhist(圓佛敎) are developing actively since centennial anniversary of establishing Won-Buddhist is coming. Sotaesan was in the position where he should take care of a lot of his followers in the dark generation. This study is to look over his thought and discernment for choosing and using the site after achieving enlightenment. Especially, this study is to analyze his thought of environment,nature, site choosing view and architecture by the theory of Hyeongse(形勢,the form and the power of the mountain) of Feng-shui(風水). Sotaesan’s Feng-shui is to completely keep away from aspect of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by Eumtaek(陰宅, a tomb for ancestor). Sotaesan’s Feng-shui is a very practical thing concerning with a human life. Analysing Sotaesan’s Feng-shui in the point of the Ryong(龍, dragon), Hyeol(穴, cave, just site), Sa(砂, the form of mountain peaks), Su(水, water, river) of the Hyeongse theory, he emphasized the theory of Su(水) for the safety from the flood. He also emphasized the theory of Sa(砂) which is concerned with cultivating human resources to use it as tool spreading for Won-Buddhist as a next important one. Meanwhile, he did not focus on the Ryong(龍, the stem of mountains) theory. But according to his address during choosing the site of Wonbuddhism temple in Iksan city, he showed his marvelous discernment to separate the alive dragon(生龍) and the dead dragon(死龍) which is an important concept of the Ryong(龍) theory. We can’t find any of his statement about the theory of Hyeol(穴) which is treated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Feng-shui among the present Umtaek geomancers.
    When we see through Sotaesan’s Feng-shui, it becomes Su, Sa, Ryong, Hyeol in order, and it is reverse version of original Feng-shui of Ryong, Hyeol, Sa,Su. Examining his concept of Feng-shui, it is very different compared to social atmosphere of which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by Eumtaek(a tomb for ancestor) had become widespread at that times. Synthesizing Sotaesan’s Feng-shui, his Feng-shui is characterized as a modern and practical Feng-shu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