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智異山의 仙界 표상과 표상화 방식 연구 (A Study on Symbol and Symbolization Process/Method of Sun World(仙界) on Jirisan(Mt. Jiri))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9.12
26P 미리보기
智異山의 仙界 표상과 표상화 방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64호 / 167 ~ 192페이지
    · 저자명 : 이홍식, 박은정

    초록

    본고는 지리산의 선계로서의 표상이 조선시대에 어떻게 강화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방식을 천착하고, 그 속에 투영되어 있는 사대부 문인들의 의도와 욕망을 추적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오랫동안 지리산 관련 정보가 집적되어 있어 지리산의 표상과 표상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인, 역대 지리산 遊山記를 주된 분석텍스트로 삼아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지리산의 선계 표상이 嶺南士林의 종장과 그 후학들로 대표되는 지리산 유산객들에 의해 강화되었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지리산이 仙界의 方丈山인 근거가 매우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영남사림은 이를 오랫동안 의심 없이 받아들여 의미화함으로써 지리산을 선계로 표상화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여기에는 三神山의 구도 속에서 지리산의 독보적 위치를 드러내려 했던 영남사림의 의도와 욕망이 강하게 작용하였다. 더하여 선현들과의 동일시를 통해 자기 유람의 의미를 찾으려 했던 공통의 의식과 은일과 탈속을 지향했던 욕망 또한 함께 작용하였다.
    다만 방장산으로 자리매김 된 지리산은 최치원을 비롯한 儒仙을 현재에 소환하여 지속적으로 만나고 靑鶴을 끌어들여 靑鶴洞을 실재화하는 방식을 통해 구체적인 생명력을 갖게 된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또 다른 주체는 바로 신흥사와 쌍계사 등 지리산 주요 사찰에 기거했던 스님들이었다. 이들은 금강산을 불국토로 만들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리산의 선계화 작업에 참여하였다.
    스님들을 통해 강화된 청학동을 비롯한 洞天에서의 살아 있는 장소체험은 삼신산(방장산)을 관념 속 실재가 아니라 현실에 실존하는 선계로 만드는 데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리산은 실제로 신선이 살고 있어 구체적인 선계 체험이 가능한 살아 있는 장소로 바뀌게 된다. 이는 다른 삼신산으로 거론되는 금강산이나 한라산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점으로, 조식 이하 영남사림들이 지리산을 선계로 표상화한 결과이자 그 의미라 할 만하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method on how to make Jirisan symbols as Sun world(仙界), to trace projected intentions and desires of literary noblemen(士大夫文人) in those symbol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used discussion with Jirisan Usangi(智異山 遊山記: travelogue of Jirisan) as the main text of analysis.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next study on symbol and semantic process and method in Usangi.
    This study made it clear that the symbols of Sun world on Jirisan has long been made by travelers of Jirisan represented as masters and younger scholars of Yeongnam Sarim(嶺南士林: they were scholars in certain area of Korea). Despite the fact that Jirisan has little clues as the Bangjangsan(方丈山) of Sun world, Jirisan could be established as Sun world with Yeongnam Sarim’s long belief without any doubt. Here, the intention of Yeongnam Sarim, which tried to reveal the unique position of Jirisan in the composition of Samsinsan(三神山: they are three mountains in the legend of China), was strongly affected. In addition, the common consciousness of seeking the meaning of self-exploration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ancient sages and the desire for seclusion and unworldliness was also affected.
    However, Jirisan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Bangjangsan, has concrete life force through continuous encounter with Choi Chiwon as a master of Confucian recalling in the present and in process of realizing Cheonghakdong(which is a village in Jirisan). The other subjects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at this time were the monks who lived in the main temples of Jirisan, such as Sinheungsa and Ssanggyesa. They carried out the predecessor work of Jirisan in the same way that they made Geumgangsan(Mt. Geumgang) to Buddha land(佛國土).
    The travelers’ experience of living places enhanced by the monks is contributing to making Samsinsan(Bangjangsan) as not the reality in abstraction but the existing Sun world in the reality. And through this, Jirisan has be transformed into a living pl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Sun world because Sinseons(神仙: kind of immortal) exist in Jirisan. This is difficult to identify at Geumgangsan or Hallasan, which can call the results and meaning of symbolization Jirisan to Sun world by YeongnamSarim such as Josic and his younger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