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雪嶽山 遊山記의 개괄적 검토 (A General Study on Soraksan Yusangi in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5.06
30P 미리보기
조선시대 雪嶽山 遊山記의 개괄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0권 / 1호 / 335 ~ 364페이지
    · 저자명 : 허남욱

    초록

     산을 유람하면서 만나는 경치와 자연에서 촉발된 느낌 등을 기록한 글이 遊山記이다. 조선시대에 설악산 유산기가 지어진 시기는 대체로 15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이다. 유산기가 집중적으로 창작된 시기는 17세기 후반부터인데, 이것은 金昌翕이 설악산에 거처를 마련한 것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설악산 유산기에서 김창흡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설악산을 찾은 사람은 주로 봄과 가을을 이용하였다. 겨울 산행은 찾을 수 없고, 여름 산행은 두 편만 보인다. 탐승경로는 크게 김수증 및 김창흡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다. 이전에는 설악산 외곽인 한계령 또는 미시령을 경유하였다. 그런데 김수증과 김창흡 이후엔 현재 설악산 탐방코스와 같은 경로다. 내설악을 경유할 경우 백담사의 전신인 선구사와 심원사에서 짐을 풀었다. 백담사가 창건되기 전에는 백담사 건너편에 있던 민가에서 숙박을 했다. 더 깊숙이 들어가면 영시암과 오세암, 그리고 봉정암에서 반드시 묵어야 했다. 외설악을 방문한 사람들이 즐겨 찾던 곳은 신흥사다. 신흥사에서 울산바위로 가다가 내원암에서 잠을 청하기도 했다. 설악산은 몇 개의 평어로 수렴할 수 있다. 隱으로 설명하고, 聖으로 그리기도 한다. 奇로, 혹은 靈으로 설악산의 특징을 뽑아내기도 한다. 이밖에도 설악산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이 있지만 이 네 가지 특성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영어초록

     The written record of the scenery and impressions of nature as taking a tour of mountains is excursion account, namely Yusangi(遊山記).
     Excursion accounts of Soraksan(雪嶽山) were written during the late 15th and early 19th centuries. They’d been created intensively since the last half of 17th century. This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setting up Kim Chang-heup(金昌翕)’s own residence in Soraksan. In that sense, it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at how great importance he is on Soraksan Yusangi.
     People visited Soraksan, mostly, in spring and fall. It can be hard to find any writings of winter’s climbing, and there are only two writings of summer’s.
     The course of sightseeing excurs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Kim Chang-heup and Kim Soo-jeung: Before, it should make a detour via Hangyeryong and Misiryeong; after, the course is exactly the same as the current touring trails. When one climbs via inner-sorak, unpack in Sungusa, the predecessor of Baekdamsa, and Simwonsa.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the Baekdamsa, private houses across the temple were the place to stay. And going further into the mountain should stay at Youngsiam, Oseam and Bongjeongam. The favorite place of outer-sorak visitors is Shinhungsa. On the way Ulsanbawi from Shinhungsa, some of them put up at Naewonam.
     It’s possible to converge into several critical remarks about Soraksan. It’s described as retirement[隱], sacredness[聖], and also characterized by quaintness[奇] or mysticity[靈]. Maybe there are various other perspective as well. However, it won’t get much beyond the four tra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