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남한산성의 조영과 승군의 활용 (Construction of the Namhan Sanseong fortress, and the role of the Buddhist army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5.06
23P 미리보기
조선후기 남한산성의 조영과 승군의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8호 / 183 ~ 205페이지
    · 저자명 : 김용태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불교정책의 기조와 승군僧軍 활용의 양상을 국가정책의 전개과정 속에서 개관하고, 임진왜란 때부터 제기된 남한산성南漢山城 축성 논의와 전개과정, 승군에 의한 남한산성 수축과 사찰 조영, 방어체제 정비를 위한 승군의 조직화와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 임명 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동아시아 중화질서의 변동기에 보여준 승군僧軍의 활약은 불교의 용인과 승역僧役의 제도적 운용이라는 정책 변화를 낳았다. 앞서 임진왜란의 의승군 활동은 불교의 위상을 제고시키고 사회적 인식을 바꾸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승려 노동력의 공적 활용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는 불교계 입장에서 큰 경제적 부담이기는 했지만 한편 승려 자격과 활동이 용인됨에 따라 불교의 인적 재생산과 존립이 가능해지는 계기이기도 했다. 승역의 제도적 운용은 전란 후 양인 노동력의 부족을 메꾸기 위한 현실적 방안으로서 국가의 부역 및 조세 정책과 연동되어 전개된 것이다.
    조선후기 승군 제도의 운영과 승역의 확대는 인조대에 남한산성의 조영과 방비에 승군이 활용되고 벽암각성碧巖覺性이 팔도도총섭으로 임명되면서 제도화되었다. 남한산성은 임진왜란 때부터 서울의 보장처로서 주목되었고 후금後金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1624년부터 1626년까지 축성이 이루어졌다. 이때 다수의 승군이 동원되었고 팔도도총섭의 주관 하에 성내 사찰에 승군이 상주하면서 방어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이후 북한산성北漢山城의 축성과 승군 운용이 남한산성을 모델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남한산성의 승군제는 승군 활용과 승려 자격의 용인이라고 하는 조선후기 불교정책이 제도화된 기점이었고 상징이었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construction of the Namhan Sanseong(南漢山城) fortress was discussed and proceeded since the war with the Japanese in the 1590s. Apparently the Buddhist army(Seung’gun, 僧軍) were mobilized in the construction and building of the fortress and the monastery, so also examined here is the organization of the Buddhist army for defense reasons, as well as the appointment of the Paldo Do-Chongseob(八道都摠攝, Supreme Leader of the entire Buddhist community) Commander. The Joseon government’s Buddhist policy, and the role of the Buddhist army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dynasty, are importantly dealt with in this article.
    Because the Buddhist priests and believers hugely contributed to the war efforts during both the war with the Japanese in the 1590s and the war with the Jurchen Qing in the 1630s, which was also a time of change for the sino-centric East Asian order, the Joseon government changed its original stance to become quite tolerant and accommodating to the Buddhist order, and even incorporated the Buddhist population into the dynastic mobilization system(Seung’yeok, 僧役). The righteous Buddhist army, along with its actions during the war with the Japanese, was considerably instrumental in elevating the image of Buddhism and the society’s perception of it. It also later opened ways for the public usage of Buddhist people’s labor force, creating a new economic burden for the Buddhist community, but the licences and activities of the Buddhist priests were newly preserved and allowed, so it was a double-edged sword which also created a platform upon which the Buddhist population could enlarge and recreate itself. The mobilization of Buddhist labor force was also necessary as the government was experiencing workforce shortage in the aftermath of the two wars.
    The Buddhist army deployment, and the increased mobilization of Buddhist workforce in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period, were more institutionalized during King Injo’s reign, as the Namhan Sanseong fortress being reconstructed, the Buddhist army personnel enlisted in its protection details, and also a renowned Buddhist priest known as Byeog’am Gakseong(碧巖覺性) was named as the Paldo Do-Chongseob figure. Since the war with the Japanese, Namhan Sanseong wa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s a barrier protecting the Han’yang capital, and from 1624 to 1626, the fortress was reinforced to defend the capital from the Hu-Geum(後金) threat. A lot of Buddhist army personnel were employed for the effort, an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Paldo Do-Chongseob commander, Buddhist troops remained residing at the Buddhist monastery inside the fortress, for security duties. This posture later served as a model for the Bukhan Sanseong(北漢山城) fortress. As we can see, the Buddhist army stationed and employed at Namhan Sanseong was indeed a symbol as well as an origin of the Joseon dynasty’s Buddhist policy that came about in its latter half, and began to use Buddhist army personnel while also acknowledging the Buddhist priests’ sta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