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后山謾詠」의 문학적 형상화와 의미 (The literary figuration and implications of 「Hoosanmanyo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2.03
34P 미리보기
「后山謾詠」의 문학적 형상화와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3호 / 98 ~ 131페이지
    · 저자명 : 문정우

    초록

    「后山謾詠」은 江右 지역의 문인이자 학자인 愚山 韓愉 (1868-1911)가 國難에 대처한 삼십여 명의 고절한 인물의 기개를 형상화한 18題의 연작시이다. 「후산만영」에 나오는 인물은 중국과 우 리나라의 인사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국의 경우는 명나라와 청나라의 교체기에 나라를 잃은 슬픔에 목숨을 버리거나 자취를 감춘 인물들이 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제 침략기에 굳은 절의를 보여준 사람들이다. 우산은 일제의 침략을 직접 겪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비분강개의 마음으로 「후산만영」을 창작하였다. 인물들은 대의를 위해 진심을 다하여 각자의 소신에 따라 대처하였는데, 우산은 그들의 절의에 대해 일화를 소개하고 감동적이며 인상적으로 詩에 형상화하였다.
    「후산만영」에는 창작 당시의 危難한 시대 상황이 드러나 있으며, 우 산의 지향처가 극명하게 나타난다. 「후산만영」의 문학적 형상화와 의 미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殺身成仁의 忠臣을 경모하고 있다. 나라의 존폐에는 신하의 역할이 중요한만큼 우산은 충 신의 충절을 드높였다. 충신이 남긴 절명사의 내용을 시구에 인용하고, 충신과 간신을 대비함으로써 충신의 절의를 형상화하였다. 또한 충신 을 역사 속 절의의 인물에 비견하여 묘사함으로써 망국의 슬픔을 함축 적으로 표현하였다. 우산은 위협과 회유에 굴복하지 않은 충신들의 살 신성인의 行誼를 형상하여, 그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높은 기상을 전하고자 한 것이다.
    둘째, 捨生取義의 행적을 남긴 丈夫를 현양하고 있다. 이름은 남기고 있으나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의 義氣를 기리고 있으며, 또한 이름조차 남기지 않은 인물의 사생취의한 행적이 형상되어 있다. 이름을 남기고 있는 경우는 후세 사람들이 그들의 이름을 기억하고 추모할 수 있지만, 무명의 인물에 대해서는 그들의 행적을 통해 그 정신을 기릴 수밖에 없다. 여기에는 우산이 명성과 실질을 꿰뚫어보고, 명성보다 정신을 중시하는 면모를 드러낸 것이다.
    셋째, 春秋大義의 史筆意識을 드러내고 있다. 우산은 역사적 사건과 인물의 위인됨을 평가함에 있어서 공자가 보여준 春秋의 비판적 정 신이 점차 쇠퇴하고 있는 것에 대해 안타까워하였다. 「후산만영」에서는 춘추대의에 입각하여 小中華 의식을 드러내고, 인물의 功業을 기록 하여 전하는 문인으로서의 소명의식을 다하며, 학문을 닦으면서도 나 라의 위난에 외면하고 있는 지식인을 비판하는 뜻을 표출하였다.
    「후산만영」의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당대의 사태를 통찰하며 현실문 제를 타개하고자 하는 선비로서의 고뇌를 읽을 수 있다. 우산은 「후산 만영」에서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나타내었으며, 나라의 위난에 사람 들이 大道를 실천할 것을 촉구하는 뜻을 드러내었다. 우산은 비극적인 나라의 현실에 문학의 가치를 믿고 사람의 정신 경계를 일깨우고자, 문인이자 지식인으로서 대응해나간 것이다.

    영어초록

    「Hoosanmanyoung」 is a series of poems by Hanyoo (1868-1911), a literary and scholar of the Gangwoo region, depicting the spirit of more than 30 hard-working characters who dealt with the country. The characters in 「Hoosanmanyoung」 are composed of Chinese figures, who abandoned their lives or disappeared due to the sadness of losing their country during the replacement of the Ming and Qing. And in Korea, they were people who showed a firm spiri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haracters faithfully responded to the caus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beliefs, and Woo-san was embodied as a poem in a touching and impressive manner by adding anecdotes.
    In 「Hoosanmanyou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t the time of creation is revealed, and the orientation of the umbrella is clearly revealed. Considering the literary form and meaning of 「 Hoosanmanyoung」,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o-san increased loyalty as the role of vassal is important for the existence and abolition of the country. In the verse of poetry, the contents of loyalists were cited, and respect for loyalists and officials was embodied. In addition, the sadness of the deceased was expressed implicitly by describing loyalty by comparing it to a character in history. Woo-san conveyed their spirit so that the deaths of loyalists who did not give in to threats and conciliations would not be in vain.
    Second, the spirit of the scholar who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t and the person who did not leave his name was commemorated. In the case of leaving a name, descendants can remember and commemorate the name, but in the case of unknown figures, they have no choice but to honor the spirit through their deeds. This reveals the aspect of penetrating fame and substance and putting more weight on the mind than fame.
    Third, it shows Chunchu spirit of criticism. Woo-san felt sorry for the gradual decline of the critical spirit of Chunchu shown by Confucius in evaluating the greatness of historical events and characters. 「Hoosanmanyoung」 expressed his criticism of intellectuals who showed their consciousness based on the  Chunchu, did their best as literary men who recorded and conveyed the character's duties, and turned a blind eye to the nation's crisis while studying.
    Through the literary figuration of 「Hoosanmanyoung」, we are able to read the agony as a scholar trying to overcome real problems by insight into the situation of the day. Woo-san expressed his love for the country in 「Hoosanmanyoung」 and expressed his urge for people to practice the great deeds in the crisis of the country. Woo-san responded as a writer and intellectual to believe in the value of literature in the reality of a tragic country and awaken people's mental bound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