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주 대모산성의 조사성과와 변천양상 (Excavation results and it’s aspect of change of the Yangju Daemosanseong fortress)

7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04
70P 미리보기
양주 대모산성의 조사성과와 변천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74호 / 217 ~ 286페이지
    · 저자명 : 김용

    초록

    본 글의 목적은 양주 대모산성 발굴조사 성과를 검토하고, 발굴조사 결과와 더불어 사료 및 기 연구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양주 대모산성의 변천양상에 대해 초보적으로 추론해 보는 데 있다.
    양주 대모산성의 시작은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정과 연동됨에 따라 먼저 사료를 기초하여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 과정과 주치소 변화 양상을 살펴본 후 양주 대모산성의 현황 및 발굴조사 성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더불어 잔존하는 성곽 구조물과 발굴조사 자료가 통일신라시대에 집중되어 있지만 사료, 기 연구성과 등을 비교ㆍ검토하여 양주 대모산성의 시대별 변천양상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사료의 검토를 통해 대모산성은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반 무렵부터 신라에 의해 축성과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6세기 한강유역 진출, 7세기 통일전쟁과 나당전쟁, 8세기 이후 발해와 긴장관계 및 북방개척 과정에서 한강 이북지역은 신라에게 있어 전략적 요충지로 오랜 기간 동안 인식되었다. 따라서 신라는 양주분지 일대와 한강 이북지역을 확보하기 위한 군사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대모산성을 축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굴조사 성과를 검토한 결과, 현재 우리에게 보여지는 성곽 구조물의 대부분이 폐성 당시 모습으로 대모산성 내 초기 성곽의 원형을 규명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다만 11차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치성의 대지조성토 내 매납된 유개합을 근거로 2차 성벽과 2차 치성의 수축 시점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of the Yangju Daemosanseong fortress and to make a preliminary inference about the aspect of change of the Yangju Daemosanseong fortress over time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historical materials, and previous research.
    As the beginning of Daemosanseong Fortress in Yangju is linked to the process of Silla's entry into the Han River basin, we first examined the process of Silla's entry into the Han River basin and the changes in the governing office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and then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Daemosanseong Fortress in Yangju and the results of excavations. In addition, although the remaining castle structures and excavation data are concentrat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researchers compared and reviewed the historical sources an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o outline the changes of Daemosanseong in Yangju over time.
    Through the review of historical documents, it seems that Daemosanseong Fortress was built and operated by Silla from the late 6th to early 7th century. The area north of the Han River has long been recognised as a strategic point for Silla, with its entry into the Han River basin in the 6th century, the unifications war and the Na-Tang War in the 7th century, and the Balhae and tensions and northern expansion since the 8th centur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illa built Daemosanseong to establish a military base to secure the Yangju basin and the area north of the Han River.
    A review of the excavation results reveals that most of the castle structures we see today are abandoned fortresses, which limits our ability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 of the early castle within Daemosanseong. However, based on the bowl with cover embedded in the site formation layer of the guard platforms identified in the 11th excavation,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timing of the renov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secondary reinforced fortress walls and the contraction of the secondary guard platf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